![]() |
경기도 인구 구조의 주요 특징은 여성 인구의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늘고 있음에도 기혼 여성의 비경제활동 비율은 여전히 높았으며, 성별 임금 격차는 전국 평균보다 큰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경기도일자리재단이 발간한 '여성 일자리사업 혁신 방안-경기도 여성인구구조와 산업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여성 고령인구(65세 이상)는 2000년 7.3%에서 2024년 18.3%로 두 배 반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경기도 전체 가구 중 여성 가구는 176만 가구로 전체의 32% 이상을 차지했다. 이 중 1인 가구 비중은 44% 이상으로 집계됐다. 한부모 가구는 38만5000가구(2023년 기준)로 이 가운데 여성 한부모 가구는 28만9000가구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특히, 여성과 미혼자녀로 구성된 모자가구는 24만5000가구로 전체 한부모 가구의 63.8%에 달해, 여성 중심의 한부모 가구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2015년 이후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024년 기준 15세 이상 여성 경제활동 인구는 604만8000명으로 전년 대비 1.65%p 늘었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56.6%, 고용률은 55.3%를 기록하며 2015년 대비 5%p 상승했다.
하지만 임금 격차는 여전히 큰 문제로 지적됐다. 경기도 여성의 평균 임금은 217만원으로 남성(315만 원)보다 97만원 낮았다. 이는 전국 평균 임금 격차(83만원)보다 14만원 더 큰 수치로, 경기도의 성별 임금 격차는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반면, 경기도 여성 평균 임금 자체는 전국 여성 평균(199만 원)보다 19만원 높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2023년 전국사업체조사에 의하면 경기도 전 산업 사업체 수는 총 156만2000개로 전국 사업체의 2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 수는 502만8000명으로 전국 대비 24.3% 수준이다. 여성은 주로 보건업과 사회복지서비스업에 종사하며, 2024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준 이 분야 여성 취업자는 56만명으로 전국 여성 취업자의 20% 수준에 해당한다.
권역별로 남부권역의 여성 취업자가 120만6000명으로 가장 많고, 동부권역은 29만30000명으로 가장 적어, 4배 가량 차이를 나타냈다.
임다희 경기도일자리재단 연구위원은 "경기도 여성 일자리사업은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여성 한부모 및 1인 가구를 위한 복합적 일자리 정책 확대와 신산업 진출을 위한 직무 역량 강화, 경력단절 예방 및 재취업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