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웨어러블 AI(인공지능) 진단 모니터링 기업 씨어스테크놀로지가 AI 기반 입원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의 매출 확대를 위한 제도적 패스트트랙을 확보했다.
씨어스테크놀로지는 씽크와 연동해 활용가능한 '악성부정맥 다단계 예측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가 식품의약품안전처 혁신의료기기로 공식 지정됐다고 31일 밝혔다. 입원환자 모니터링 제품인 씽크의 기능과 판매모델 확장을 위해 진행해온 다양한 개발의 첫번째 성과다.
이번에 지정된 제품은 입원기간 중 환자의 심전도를 모니터링해 심정지 및 사망이 오기 전 발생하게 되는 악성부정맥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의료진에게 시간대별로 발생예측치을 제공하는 AI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다. 심실성 부정맥(심실빈맥·심실세동) 및 심정지성 부정맥(무수축)의 발생 위험을 1시간 간격으로 예측해 중증환자 관리의 효과성과 생존율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씨어스테크놀로지는 이번 지정이 씽크 플랫폼 고도화의 본격적인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되면 해당 AI 기능에 대해 신속하고 우선적인 품목허가 절차를 밟을 수 있다. 품목허가 완료 후에는 병원에서 자체고지를 통해 환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급여 수가' 형태로 우선 병원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씽크는 지난 2월 국내 최초로 심전도 침상감시(EX871) 요양급여 수가를 획득하면서 이미 확보한 다양한 병상 모니터링 수가와 연계해 씨어스테크놀로지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여기에 씽크 플랫폼 기능을 확장한 AI 예측 소프트웨어 분야의 혁신의료기기 지정은 씽크의 도입 속도를 한층 가속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영신 씨어스테크놀로지 대표는 "이번 악성부정맥 예측 소프트웨어의 혁신의료기기 지정은 AI 병상 모니터링 서비스 고도화의 시작점"이라며 "입원환자의 예후 모니터링 뿐 아니라 예기치 못한 중증화로 기인한 병동 내 사고를 조기에 대응할 수 있는 중증화 예측 AI 서비스는 씽크가 구현하고자 하는 스마트 병동을 완성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