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셀트리온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플라이마(성분명 아달리무맙)가 유럽 전역에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경쟁 제품보다 늦게 출시됐다는 단점을 극복하는 모습이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유플라이마는 올 1분기 유럽 점유율 24%로 전 분기 대비 3%p 오른 처방 실적을 기록했다. 1위 제품과의 격차가 1%p에 그치면서 유럽 아달리무맙 선두 지위 등극을 목전에 두고 있다. 오리지널 제품인 휴미라를 포함해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허가받은 아달리무맙 치료제만 10종이 넘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거둔 값진 성과라는 게 셀트리온 설명이다.
유플라이마가 기존까지 성공의 정석으로 여겨지던 '퍼스트무버 시장 선점' 공식을 뛰어넘었다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유플라이마는 다수의 아달리무맙 바이오시밀러 경쟁 제품들이 유럽에 출시된 2018년 3분기 대비 3년 늦은 2021년 3분기에 출시됐다.
유플라이마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원동력은 유럽 직판 체제의 성공에 있었다. 유플라이마는 '램시마SC'(성분명 인플릭시맙, 피하주사제형) 이후 셀트리온이 유럽에서 직판으로 출시한 두 번째 제품이다. 입찰 수주, 병원 영업, 이해관계자 네트워크 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램시마 제품군을 직판하며 쌓은 판매 경험을 적극 활용할 수 있었다.
주요 제품들과 적응증이 동일하다는 점도 처방 확대에 기여했다. 이미 구축한 의료진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일부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은 단일 제제 장기 사용에 내성이 생겨 다른 제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주로 공략했다. 셀트리온은 인플릭시맙 제제에서 이미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한 가운데 아달리무맙 제품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면서 두 제제를 모두 공급할 수 있게 됐다. 치료제 전환에서도 상호 시너지가 발현되는 셈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유플라이마가 경쟁 제품보다 3년이나 늦게 출시됐음에도 처방 선두 그룹에 올라섰다는 사실은 회사의 직판 역량이 퍼스트무버의 강점을 뛰어넘는 경쟁력을 갖췄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올 연말 예정된 고수익 신규 제품들의 출시로 포트폴리오가 더욱 강화되는 만큼 제품 간 시너지를 적극 활용해 유플라이마를 비롯한 전 제품의 판매 확대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