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환경공단은 26일 서울시청 서소문청사에서 서울특별시와 '냉매 전주기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서울시 공공시설 냉방·냉동설비에 사용되는 냉매의 충전·사용·회수·처리 등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을 위해 추진됐다.
냉매는 온난화 지수가 높은 물질이다. 특히 수소불화탄소(HFCS)와 같은 냉매는 이산화탄소(CO2)에 대비 수백배에서 최대 1만2000배에 달하는 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전 주기적 관리가 중요하다.
현재 법정 관리대상 냉매사용기기는 20RT 이상이지만 서울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3~20RT 규모의 비법정 기기까지 관리범위를 확대하고, 냉매정보관리시스템(RIMS)을 활용해 더욱 체계적인 관리에 나설 예정이다.
RIMS는 공단이 법정 관리대상 기기에서 사용되는 냉매를 관리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는 전산시스템이다. 그동안 법정 관리대상 기기를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으나 이번 협약을 위해 비법정 기기까지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개선했다.
서울시는 RIMS에 냉매사용 기기 정보를 먼저 등록하고, 이후 해당 기기에 냉매 충전·회수 등 이력이 발생하면 QR코드를 활용해 모바일로 간편하게 입력해 냉매를 관리할 수 있다.
공단은 지난달 25일 충청남도와도 냉매 전주기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윤용희 한국환경공단 기후대기이사는 "공단은 서울시와의 협업을 통해 냉매 전주기 관리체계를 실효성 있게 정착시키고 향후 다른 지자체들과도 협력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