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테슬라로 불리는 샤오펑이 한국 법인 설립을 마친 것으로 전해진다. 사진은 'IAA 모빌리티 2025'의 샤오펑 부스 모습. /사진=김창성 기자

중국의 테슬라로 불리는 샤오펑(Xpeng)이 비야디(BYD), 지커(Zeekr)에 이어 중국 주요 전기차 업체 중 세 번째로 한국 법인 설립을 마쳤다. BYD가 국내 시장에 안착한 가운데 샤오펑이 테슬라 모델 Y와 현대차 아이오닉 등 인기 모델의 위상을 위협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3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샤오펑은 지난 6월23일 '엑스펑모터스코리아'(XPeng Motors Korea)라는 이름으로 한국 법인을 설립하고 등기를 마쳤다.


본점 소재지는 서울 양천구 은행정로 54로, 정식 사무실이 아닌 공유오피스 형태의 주소지만 둔 것으로 파악된다. 자본금은 1억5000만원이며 중국 국적의 1984년생 리 야차오(Li Yachao)가 단독 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리 야차오 이사의 구체적인 직함은 확인되지 않지만, 샤오펑 스웨덴 법인 이사와 동일 인물로 보인다.

업계는 샤오펑이 한국 법인 등기를 마친 만큼 국내 사업을 대표할 승용 부문 대표를 물색하고 조만간 선임할 것으로 본다. 통상 중국 기업은 해외 진출 시 법인장의 경우 중국인을 선임하고, 사업 부문 대표는 현지인을 채용한다. BYD가 대표적이다.

샤오펑은 중국의 신흥 전기차 업체로 대륙의 테슬라로 불린다. 단순 전기차 판매를 넘어 자율주행, 미래항공모빌리티(AAM), 휴머노이드, 인공지능(AI) 등 모빌리티 설루션 기업을 표방하고 있다.


이달 초 독일 뮌헨서 열린 유럽 최대 모터쇼인 IAA 모빌리티 2025에서는 한국 진출 계획을 밝혔다.

재키 구 샤오펑 기술위원회 회장은 지난 8일(현지시각) 현장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한국 시장에 관심이 많고 구체적인 (진출)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샤오펑은 IAA 전시관 내 전광판에 한글로 "AI 모빌리티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는 글귀를 게시하기도 했다.

BYD에 이어 지커, 샤오펑까지 국내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면서 중국 업체의 한국 시장 공습은 물론 시장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합리적인 가격에 앞선 기술을 지닌 중국 전기차 업체의 국내 진출 확대는 소비자 선택 확대와 국내 산업 생태계 위기를 동시에 불러올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는 기아의 'EV3'와 'EV6', 현대차의 '더 뉴 아이오닉 5'와 '캐스퍼 일렉트릭', 테슬라의 '모델 Y 주니퍼'가 인기를 끌고 있다.

BYD는 지난 1월 전기 승용차 론칭 이후 올해 1947대를 판매했다. 4월 첫 출시 모델 아토 3 고객 인도 이후 씰과 씨라이언 7 등을 잇달아 출시하며 수입 전기차 시장 3위를 기록, 한국 시장에 안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