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MBK 자구노력 없는 일방적 홈플러스 폐점 계획 철회 회생법원 조치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 사진=뉴시스 김명년 기자

사모펀드 운영사인 MBK파트너스의 경영능력이 도마 위에 올랐다. MBK가 대주주로 있는 홈플러스와 롯데카드가 잇따라 경영위기에 휘말리면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24일 대규모 해킹 사태에 대한 청문회를 열고 김병주 MBK 회장을 증인으로 소환할 예정이다.


이번 청문회는 최근 발생한 통신사와 롯데카드 해킹 사태를 추궁하기 위한 것이다. 롯데카드는 외부 해킹 공격으로 전체 고객의 약 3분의 1에 가까운 297만명의 정보가 유출됐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대주주인 MBK의 책임론이 커지고 있다. 롯데카드가 MBK에 인수한 2019년 정보보안 운영 및 IT 투자액은 71억4000만원에서 인수 이듬해인 2020년에는 69억1000만원으로 줄었다.

2021년에는 DR(재해 복구) 및 백업시스템 고도화로 137억1000만원까지 금액을 늘렸으나, 2022년에는 88억5000만원으로 감소했다.


이후 2023년 114억9000만원, 2024년 116억9000만원, 올해 128억1000만원 등으로 연간 100억원을 웃돌긴 했지만 2021년 수준엔 미치지 못했다.

전체 정보기술(IT) 예산에서 정보보호에 투자되는 비율은 2021년 12%에서 2022년 10%, 2023년 8%로 매년 줄었다. 2023년 신한카드가 9.3%, KB국민카드가 9.2%, 삼성카드가 8.7% 비중으로 투자한 것에 비하면 업계 대비 낮은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MBK는 롯데카드 인수 후 현재까지 현금 배당으로만 2000억원을 넘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수가가 1조3810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14.5%를 회수한 셈이다.

MBK 측은 "2020년 이후 5년 동안 1500억원 정도 IT 투자가 집행됐는데 이 중 절반이 보안 투자 관련"이라며 "기업가치를 높여서 투자해야 하는 사모펀드(PEF)가 카드사 보안 관련 투자를 소홀히 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정치권에서는 MBK의 책임론이 확산하는 상황이다.

MBK는 롯데카드 해킹에 앞서 홈플러스 경영 악화 사태로 물의를 빚은 바 있다. 2015년 말 홈플러스를 인수한 뒤 10년간 점포 등 핵심자산 매각에 집중하면서 실적과 재무구조가 악화됐다는 비판을 받는다.

최근에는 15개 점포 운영을 중단하려다 더불어민주당이 개입하면서 매수자가 결정될 때까지 폐점은 하지 않겠다고 입장을 철회한 바 있다.

국회는 24일 청문회에서 롯데카드 사태를 제대로 따져 묻는다는 계획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로 청문회를 열 가능성도 있다.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롯데카드 증인들의 출석 여부에 따라 또 한 번의 청문회를 따로 의결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롯데카드 해킹과는 별개로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한 청문회가 열릴 가능성도 있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MBK 자구노력 없는 일방적 홈플러스 폐점 계획 철회 및 회생법원 즉각 조치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9월에 청문회를 하지 않으면 MBK에 대해 정무위는 입으로는 청문회를 한다 해 놓고 결국은 1년 넘게 안 한 정무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무위원회 야당 간사인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도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며 "민주당 간사와 협의해 청문회 개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