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 본사 전경. /사진=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는 경영관리부사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AI 대전환 위원회'를 본격 가동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AI 대전환 위원회를 통해 전사적인 AI 도입·확산을 주도하고 국민 안전과 생명 보호, 에너지 복지 서비스 확대 등 국민 행복 증진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AI 기반 위험성 평가 및 사고 위험 분석 시스템을 구축해 산업 재해를 크게 줄일 방침이다. 빅데이터 기반의 위험성 평가를 통해 위험 요인을 식별하는 식이다. 작업 현장에 지능형 CCTV를 설치·운영해 실시간 위험 요소 감시 및 위험 경보 자동 발령 시스템을 갖춰 나간다.

재난 경보 자동 발령 시스템에도 AI를 적극 활용한다. 전국 가스공사 천연가스 생산·공급시설에 지능형 CCTV를 운용해 현장 재난 상황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재난·현장별 특성에 맞춤화된 대응 계획을 즉시 제공한다.

AI 기반 콜센터도 운영한다. 복잡한 서류 신청 절차 없이 가스 요금 경감 대상자를 자동 선별해 지원, 에너지 복지 서비스가 필요한 취약계층이 혜택을 충분히 누릴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은 "AI 대전환은 단순한 신기술 도입을 넘어 일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공공서비스를 획기적으로 제고하는 기회"라며 "앞으로도 가스공사는 공공 부문의 AI 대전환을 선도하는 한편 AI 대전환에 필수적인 에너지를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공급하는 국가 에너지 파수꾼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