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토교통부가 노후 공공임대주택 재건축 2만3000가구의 착공에 나선다. 이번 착공을 시작으로 정부는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을 빠르게 추진할 계획이다.
1일 국토부에 따르면 9·7 공급대책의 일환인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 2만3000가구 착공을 추진한다.
2024년 기준 30년 이상 경과된 수도권 노후 공공임대 주택은 8만6000가구이다. 10년 후에는 16만9000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재건축사업은 2024년 사업승인을 받은 하계5·상계마들(SH) 2개 단지에서 시작된다. 2026년 초 1699가구 규모로 착공된다. 2029년 입주가 가능할 전망이다. 이어 이주대책을 마련 후 ▲2028년 중계1단지 ▲2029년 가양7 ▲2030년 수서·번동2 등을 차례대로 착공한다.
신규 공공분양주택은 2028년 중계1단지부터 공급한다. 다른 단지도 수요에 따라 사업계획 수립 과정에서 공공분양주택을 반영한다. 원주민 이주는 재건축 단지 주변 기존 공공임대의 빈집을 활용하거나 신규 매입임대주택의 일부를 임시 이주주택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은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 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해 차질 없이 이주대책을 마련하고 조기 착공이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