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2025년 국회 국정감사가 시작된다. 유통 업계에서는 신세계, 쿠팡, 다이소, 무신사 등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들이 대거 소환된다.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를 하루 앞둔 12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관계 공무원들이 국정감사장 시설 및 자료 등을 점검하고있다. /사진=뉴스1 김기남 기자

2025년 국회 국정감사가 13일부터 본격 시작되는 가운데 신세계, 쿠팡, 다이소, 무신사 등 주요 유통·플랫폼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국회 증언대에 대거 소환된다.

정무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유통 공정성, 플랫폼 불공정 거래, 골목상권 침해 등을 핵심 쟁점으로 삼고 강도 높은 감사를 예고했다.


가장 많은 이슈로 국감의 중심에 선 쿠팡은 오너와 전문경영인이 역할을 분담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무위는 쿠팡의 실질적 오너인 김범석 의장을 온라인 플랫폼 불공정 거래 및 최근 논란이 된 '쿠팡플레이 스포츠패스' 요금 정책 등과 관련해 증인으로 채택했다. 하지만 김 의장이 해외 거주를 사유로 불출석할 예정이어서 핵심 질의가 이뤄지지 못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대신 산자중기위에는 박대준 쿠팡 대표가 14일 중소벤처기업부 국감에 출석해 플랫폼 내 정산·수수료 공제 구조의 공정성과 광고 운영 실태 등에 대해 답변한다.


김명규 쿠팡이츠 대표는 16일 정무위 공정거래위원회 국감에 출석해 배달 플랫폼의 불공정 거래 의혹에 대해 소명할 예정이다.

산자중기위에서는 유통 대기업의 수장들이 중소기업과의 상생 이슈로 도마 위에 오른다.

정용진 신세계 회장은 24일 산업부 종합감사에 출석해 최근 신세계그룹의 G마켓과 알리바바그룹의 알리익스프레스 기업 결합과 관련한 소비자 정보 보호 및 입점 계약 공정성 문제 등에 대해 질의를 받는다.

조만호 무신사 대표와 김기호 아성다이소 대표 역시 산자중기위 국감에 출석해 각각 플랫폼과 판매자 간 불공정 거래 관행과 납품업체 대상 불공정 행위 및 중소기업 상생 노력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문을 받을 전망이다.

정무위에서는 김광일·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가 국감장에 출석해 사모펀드(MBK파트너스)가 대주주인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에 따른 협력사 및 근로자 피해와 대주주 책임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