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타이완 유사 시 '국가 존립 위기 사태'로 규정하고 일본이 개입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발언에 중국이 일본 여행 금지령을 내리는 등 보복 조치에 나섰다. 사진은 (오른쪽) 다카이치 총리가 지난달 24일 일본 도쿄 의회에서 첫 정책 연설한 모습. (왼쪽)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2일(현지시각)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펠리페 6세 스페인 국왕과의 서명식을 지켜본 모습. /사진=로이터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타이완 유사시 '국가 존립 위기 사태'로 규정하고 일본이 개입하겠다고 시사하자 중국이 보복 조치 가능성을 내비쳤다.

지난 15일 일본 매체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 관계자는 최근 타이완과 관련해 중국과 갈등이 빚어지자 "(양국) 공식적인 견해 차이와 민간인 여행을 혼동하는 것은 이상하다"며 중국의 일본 방문 자제령에 대한 불만을 표했다. 이어 일본이 사태를 수습하려고 하는데 중국이 여행 자제령을 내리는 것은 "분명히 중국이 분쟁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쉐젠 주오사카 중국 총영사가 다카이치 총리를 겨냥해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서 "그 더러운 목을 벨 수밖에 없다. 각오는 돼 있는가"라는 글을 올려 논란이 일었다. 이에 일본 정치권 일각에서는 쉐 총영사를 외교적 기피인물(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지정해 추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다만 일본 정부 내에서는 당분간은 냉정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강하다. 한 외무성 간부는 "지금은 냉각기간을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의 보복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지지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 관계자는 농수산물 관련 중일 실무급 협의 전망이 불투명해졌다고 전했다. 한 각료 경험자는 "다음은 경제적 대응 조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중국 관영 CCTV 계열 SNS 위위안탄톈에는 지난 15일(현지시각) "(중국이) 실질적인 대응 준비를 마쳤다"며 보복 조치로서 경제·외교·군사 교류를 중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