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 시장이 도시정책 시민계획단 원탁토론회에 참석,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수원시

수원시 도시정책 시민계획단 10명 중 4명은 '수원 경제자유구역이 지향해야 할 도시 방향'으로 '인공지능(AI), 반도체 중심 스타트업 친화도시 조성'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수원시 '도시정책 시민계획단 원탁토론회'에서 실사한 우선순위 투표 결과에 따르면 38%의 시민계획단은 수원 경제자유구역이 지향해야 할 도시 방향으로 'AI, 반도체 중심 스타트업 친화도시 조성'을 꼽았다.


이어 '국제 비즈니스와 관광·문화가 결합한 복합경제도시 조성'(22%), '대학·국제학교와 연계된 연구·개발(R&D) 교육·연구도시 조성'(21%)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16일 수원컨벤션센터 컨벤션홀에서 'S-FEZ 수원 경제자유구역 완성을 위한 전략은'을 주제로 열린 토론회는 이재준 수원시장과 도시정책시민계획단, 일반 시민, 청소년, 수원시의원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부문별 투표 결과를 보면 '수원 경제자유구역의 미래산업 핵심 전략'에서는 '인재 육성을 위한 국제학교와 글로벌기업 유치'가 37%로 가장 높았다. 이어 '국내 리딩기업 발굴을 위한 유니콘기업 육성'(29%), '기존 대학, 기업 기반 지속가능 생태계 구축'(20%)이 뒤를 이었다.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기반 시설'로는 '접근성을 고려한 수도권 네트워크 광역철도망'(40%)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미래형 교통시설 구축을 위한 스마트 교통체계 구축'(29%), '글로벌 기업 유치를 위한 외국인 정주 환경 구축'(17%) 순이었다.

이 시장은 "시민 여러분의 생각들이 수원의 미래가 되고 방향이 될 것"이라며 "수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반드시 실현해 수원을 첨단과학연구도시, 한국형 실리콘밸리로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