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에는 눈길·빙판길 미끄러짐 사고가 늘고 타이어·배터리 성능이 떨어지기 쉬워 사전 점검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이 중요하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겨울이 시작되면 자동차도 추위에 민감해진다. 눈길·빙판길에서는 미끄러짐 사고가 늘고, 추워진 날씨에 타이어·배터리 성능은 떨어지기 쉽다. 전문가들은 한파가 오기 전 겨울용 타이어 교체와 배터리 관리 같은 기본 점검만 챙겨도 겨울철 안전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조언한다.

겨울용 타이어, 눈길 제동거리 짧아 안전해

겨울용 타이어는 사계절용 타이어보다 눈길에서 제동거리가 짧아 사고 예방에 도움이 된다. /사진=한국타이어

겨울에는 눈·빙판 등 노면 환경으로 인한 미끄러짐 사고 확률이 다른 계절보다 높아 겨울용 타이어 장착이 필수다.

타이어의 주원료인 고무는 기온이 낮아지면 단단하게 굳어져 본연의 성능이 저하된다. 하지만 겨울용 타이어는 특수 고무 컴파운드를 사용해 영상 7도 이하에서 쉽게 경화되지 않아, 추운 날씨에도 안정적인 접지력을 유지한다.


한국타이어의 테스트 결과, 눈길에서 시속 40㎞로 달리다 제동할 경우 겨울용 타이어는 제동거리가 18.49m에 불과한 반면, 사계절용 타이어는 37.84m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빙판길 테스트(시속 20㎞에서 제동)에서도 사계절 타이어 대비 약 14% 짧은 제동 거리를 기록했다.

겨울용 타이어로 교체한다면 네 바퀴 모두 바꾸는 것이 좋다. 앞바퀴나 뒷바퀴 두 개씩만 교체할 경우 접지력 불균형으로 급격한 코너링 상황에서 오버스티어(차선 이탈)나 언더스티어(차량 앞쪽 벗어남) 현상이 발생해 사고 위험이 높다.

한국타이어 관계자는 "겨울용 타이어는 네 개 모두 바꿔야 효과적"이라며 "앞바퀴 혹은 뒷바퀴 두 개만 교체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끄러짐을 막기 위해 타이어 공기압을 일부러 낮추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공기압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줄어들고, 겨울철에는 기온 차로 감소 속도가 더 빨라져 평소보다 자주 공기압 점검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전 습관도 신경 써야 한다. 눈길·빙판길에서 급가속·제동을 피하고, 눈길에서는 평소보다 핸들을 더 단단하게 잡는 것이 좋다. 언덕길에서는 저속 기어로 변속, 내리막길에서는 엔진브레이크를 활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겨울철 배터리 관리, 온도·충전 속도가 핵심

전기차의 경우 기온이 낮아지면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가 잦아 배터리 관리에 신경써야 한다. /사진=한국앤컴퍼니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차는 추위에 약해 성능이 눈에 띄게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시동이 잘 걸리지 않거나 갑작스럽게 방전되는 것이 대표적이다.

배터리 방전을 막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주차 환경 관리다. 실내나 지하 주차장과 같은 온도 변화가 적은 곳에 주차하고, 야외에 세워야 한다면 차의 앞부분을 햇빛이 드는 방향으로 두는 것을 권장한다.

장기간 차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주 1회 이상 시동을 걸어 최소 10분 정도 엔진을 가동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 좋다. 시동을 끄기 전에는 블랙박스, 내비게이션, 하이패스 단말기 등 불필요한 전기장치의 전원을 차단해야 방전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충전 시에는 급속 충전보다 완속 충전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급속 충전은 배터리 온도를 빠르게 높여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배터리 상태를 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한 달에 한 번 정도 완속으로 100%까지 충전해주는 것이 좋다.

겨울철 전비를 아끼는 핵심은 난방기 사용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내연기관차가 엔진의 폐열로 히터를 구동하는 것과 달리, 전기차는 배터리 전력으로 공기를 직접 가열해 전기에너지 소모가 훨씬 크다. 따라서 겨울에는 히터보다 열선 시트나 스티어링 휠 열선을 먼저 사용하는 것이 전비 절약에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