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가 존 윌리엄스 뉴욕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 언급에 힘입어 반등 마감했다.
지난 21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493.15포인트(1.08%) 오른 4만6245.4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0.98% 오른 6602.99, 나스닥 종합지수는 0.88% 상승한 2만2273.08로 마감했다.
윌리엄스 총재는 이날 칠레 산티아고 연설에서 "최근 조치로 긴축 정도가 다소 완화됐지만 통화정책은 여전히 긴축적"이라며 "단기적으로 정책 기조를 중립에 가깝게 조정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공개시장운영을 담당하는 뉴욕 연은 총재의 발언이라는 점에서 시장은 이를 연준 지도부의 기조 변화 신호로 받아들였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은 71%대로 치솟았다. 하루 전만 해도 39% 수준이었다.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소비 관련 종목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홈디포는 3.29%, 스타벅스는 3.30%, 맥도널드는 1.71% 올랐다. 기술주 흐름은 엇갈렸는데, 알파벳(+3.56%), 아마존(+1.63%), 애플(+1.97%) 등은 상승한 반면 엔비디아(-0.97%), 테슬라(-1.05%), 마이크로소프트(-1.32%)는 약세로 마감했다.
엔비디아는 장중 4% 넘게 급락했으나 트럼프 행정부가 GPU 'H200'의 중국 수출 일부 허용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낙폭을 줄였다.
비만치료제 '젭바운드'를 앞세운 일라이릴리는 1.57% 오르며 제약사 최초로 시가총액 1조달러를 돌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