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가지 논란에 휩싸였던 광장시장이 또 다시 바가지 논란에 휩싸였다. 논란 이후에도 카드를 받지 않는 등 문제점도 지적됐다. 사진은 7000원짜리 순대와 4000원짜리 떡볶이의 모습. /사진=유튜브 채널 '규보의 대충대충' 캡처

서울 광장시장이 또다시 바가지 논란에 휩싸였다. 이달 초 한 유튜버가 광장시장에서 8000원짜리 순대를 시켰는데 주인이 마음대로 고기를 섞었다며 1만원을 요구한 것이 알려지면서 한 차례 논란이 일었는데, 최근 또 다른 유튜버가 순대 9개에 7000원, 떡볶이 6개에 4000원에 판매되는 모습을 공개하며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최근 유튜브 채널 '규보의 대충대충'에는 '바가지 논란 이후 광장시장 근황'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는 남성 두 명이 광장시장을 찾아 떡볶이와 빈대떡, 순대를 주문하는 모습이 담겼다. 이들은 5000원짜리 빈대떡과 4000원짜리 떡볶이를 주문하려 했으나, 상인은 "우리는 기본 1인 5000원이다. 모자라다"라며 추가 주문을 요구했다. 결국 이들은 7000원짜리 순대까지 주문했다.


그런데 음식 양을 본 이들은 또 한 번 놀랐다. 떡볶이는 떡이 겨우 6개, 순대는 9조각이 전부였다. 남성은 "1명당 (떡) 3개씩 먹으면 되겠네"라고 허탈해했다. 이 남성은 후녹음을 통해 "4000원에 비해 양이 너무 적다. 솔직히 너무 비싸다"라고 평가했다. 상인은 카드 결제가 안 된다고 안내했고, 결국 남성은 계좌이체를 진행했다.

해당 영상에는 "저게 1만6000원이라니. 차라리 돈 조금 더 보태서 배달시키겠다" "이 난리에도 정신 못 차리면 갱생 불가다" "친절하지도 않고 가격도 사악하다" "떡볶이 떡 하나가 라면 하나 가격인 꼴" "시장에서 1인 최소 주문금액 있는 곳은 처음 봤다" 등의 비판 댓글이 이어졌다.

광장시장은 서민적인 먹거리와 정겨운 로컬 분위기를 느낄 수 있어 외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 'K푸드 성지'로 부상했으나 불친절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달 초 '순대 바가지요금' 논란을 일으킨 광장시장 노점은 상인회 자체 징계 결정에 따라 10일간 영업정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