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방문을 즐기는 한 유튜버가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에 방문했다가 일부 상인에게 불친절한 응대를 겪었다고 밝혔다.
지난 4일 구독자 148만명을 보유한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그는 "이날 (광장시장) 노점 5곳을 방문했는데 4곳이 불친절했다"며 "칼국수를 먹으러 갔는데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가 봐도 오해할 수밖에 없게 생긴 김가루랑 고명이 덕지덕지 붙은 면을 면 삶을 때 섞었다"고 지적했다.
이후 순대를 먹으러 간 유튜버는 가격 때문에 상인과 언쟁을 벌였다. 메뉴에는 '큰 순대' 8000원이라고 적혀 있었는데 상인은 1만원을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유튜버가 "여기 8000원이라고 쓰여 있는데 왜 1만원이냐"고 묻자, 상인은 "고기랑 섞었잖아, 내가"라고 답했다. 유튜버는 "(고기랑 순대랑 섞냐고) 미리 물어본 적도 없고 섞어달라고 요구한 적도 없다. 주변에 쳐다보길래 그쯤에서 멈췄다"고 토로했다.
그는 또 "이날 상인분들이 외국 손님들한테 갑자기 버럭버럭하는 걸 여러 번 봤다"며 "언성을 높일 만한 상황이 아닌데 막 화를 내니깐 매우 당황해했다. BTS, 케이팝데몬헌터스로 한껏 기대에 부풀어 한국에 왔을 텐데 참 안타까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하는데 막상 이러면 누가 가겠나"라며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건 전통시장들이라고 다 이러진 않는다"고 말했다.
유튜버는 영상을 올린 이유에 대해 "개인 업장의 문제면 영상에서 편집하는 데 이건 광장시장의 고질적인 문제라고 생각돼서 올린다"며 "아무리 외국인, 관광객 등 일회성 손님이 많다고 해도 이런 식으로 하면 너무 망신스럽다"고 했다.
'정량 표기제'·'미스터리 쇼퍼' 진짜 효과 있나?
해당 영상은 올린 지 14시간 만에 조회 수 약 200만회를 기록하고 3700여개에 가까운 댓글이 달렸다. 누리꾼들은 "순대는 그냥 강매인데 너무하다" "서울시에서 나서서 조처를 해야지" "시장 상권 상인들이 다 죽이고 있다" "광장시장은 매번 비슷한 지적이 있었는데 개선될 기미가 안 보인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이런 경험 하면 한국 다신 안 오고 싶을 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광장시장은 서민적인 먹거리와 정겨운 로컬 분위기를 느낄 수 있어 외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 'K푸드 성지'로 부상했으나 불친절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2023년 11월 작은 전 10점을 1만5000원에 판매한 한 노점이 공분을 샀는데, 이후에도 바가지를 당했다는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다. 지난해에도 5000원짜리 고기만두를 주문한 손님에게 "섞으라(믹스)"라며 김치만두와 섞인 만두 한 접시를 1만원에 판매하기도 했다.
'광장시장 모둠전 논란' 이후 서울시와 종로구는 상인회, 먹거리노점 상우회와 함께 대책 마련에 나선 바 있다. 시장 상인회는 그해 영상 속 가게에 10일 영업 정지 처분을 내리고 '서비스 향상 결의 대회'를 열었다. 서울시는 메뉴판 가격 옆에 정량을 표시하는 정량 표시제와 미스터리 쇼퍼 등을 도입했다. 하지만 논란 당시로부터 2년이 흐른 현재까지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