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뉴스1 손형주 기자) |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7일 서울 소공동 한은 본관에서 열린 국제화폐회의에 참석해 "최근 화폐수요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사건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이며 이같은 상황에 대비한 화폐유통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김 총재는 "금융위기로 경제 주체의 안전자산 선호경향이 강화되고 장기간 저금리로 화폐보유의 기회비용이 낮아지면서 다수 국가에서 화폐발행 잔액이 크게 늘었다"며 이처럼 밝혔다.
이어 “특히 미국 달러화 등 주요국 통화는 신흥시장국 경제주체들이 보유 금융자산 일부를 미국 달러화나 유로화 등 기축통화로 전환하기 때문에 고액권을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는 양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같은 화폐 수급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화폐유통시스템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비현금지급수단과 현금의 조화도 강조했다.
김 총재는 "현금과 비현금 지급수단이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며 "중앙은행은 비현금 지급수단의 발달과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대응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비현금지급수단 발달이 화폐수요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력을 고려할 때 향후 진행추이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현금과 비현금지급수단이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비현금지급수단의 발달은 중앙은행 결제시스템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금융기관 감시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이번 회의는 '화폐수급 환경 변화에 대응한 중앙은행의 역할'을 주제로 진행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유럽중앙은행(ECB)을 비롯한 독일, 일본, 호주, 인도, 캐나다 등 주요국 중앙은행 발권 및 금융결제 전문가들이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