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정보통신기술 전시회인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014’가 24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MWC는 모바일기기에만 집중됐던 예년과 달리 휴대전화와 태블릿PC, 웨어러블기기 등 다양한 분야의 제품이 전시될 예정이다. 전세계 1800여개 업체가 참가하며 관람객은 7만5000여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은 삼성전자, SK텔레콤, LG전자 등이 참석하며 중소기업들도 공동으로 한국관을 꾸렸다.
스마트폰분야에서는 삼성전자의 갤럭시S5가 가장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가 MWC 기간 전략제품을 선보이는 것은 수년 만의 일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갤럭시S5의 특징은 대화면, QHD, 메탈소재, 지문인식 등이다. 5.2인치의 대화면, QHD급의 높은 해상도, 메탈소재의 외장, 지문인식을 이용한 보안 기능을 갖췄을 것이란 예상이다.
SKT는 국내 통신사 중 유일하게 5년 연속으로 단독 부스를 운영하며 전세계 ICT산업의 청사진을 제시한다. 특히 이번 MWC에서 SK텔레콤은 3개의 광대역(20MHz) 주파수를 묶어 기존 LTE 대비 6배, 현재 서비스 중인 LTE-A 대비 3배인 최대 450Mbps 속도의 3band LTE-A를 선보인다.
올해 SK텔레콤은 600㎡ 규모의 대형 전시관을 마련해 ‘Creating New Possibilities’를 주제로 ▲진화된 통신 기술 ▲타 산업과 ICT 융합 서비스 ▲개방형 플랫폼 등 새로운 ICT기술과 서비스를 제시한다.
KT는 이번 MWC 2014 전시회에서 홈네트워크망에서 기존 구리선 기반의 인터넷 속도 패러다임을 개선한 초고속인터넷 솔루션을 소개한다. KT는 기존 구리선 선로를 광케이블이나 고품질의 랜회선(UTP)로 교체하지 않고 세계 최초로 양방향 200Mbps 이상의 인터넷 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초고속인터넷 전송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또한 KT는 이 기술을 통해 데이터 상향속도와 하향속도를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유튜브 동영상 등 다운로드가 많은 서비스 환경에서는 하향속도가 300Mbps, 상향속도가 100Mbps급으로 가변해 인터넷 데이터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LGU+는 이번 MWC 2014에서 처음으로 자사 서비스를 시연하는 부스를 마련해 참여한다. 이 자리에서 LGU+는 제조사와 함께 3개의 LTE 대역을 하나로 묶어 LTE보다 4배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3밴드(Band) CA(Carrier Aggregation)'를 시연한다.
또한 LG전자의 미러 디스플레이와 자사의 혁신적인 LTE 서비스를 결합한 스마트 컨버전스 서비스 'LG보드'를 선보이는 한편, 안면인식 솔루션을 적용한 대상 광고 플랫폼 '미러미디어'(Mirror Media)를 MWC 2014에서 처음으로 공개한다.
이 밖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멀티태스킹으로 공유할 수 있는 '유와'(Uwa), 1000장의 사진, 동영상 1GB 등 대용량 파일을 최대 100명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비디오 SNS 'U+ShareLIVE'도 시연한다.
또 홈CCTV 등 디지털 가전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홈 보이'(homeBoy)도 전시한다.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MWC 2014' 개막
차완용 기자
1,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