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위크DB
/사진=머니위크DB

 

이동통신사들이 단통법에 따른 소비자 불만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를 잇따라 내놨다. 앞서 정부가 단통법 보완책을 강구하라는 압박을 한 이후 나온 방편이다. 이통 3사는 요금 약정할인 반환금(위약금)을 없애고, 멤버십 포인트 제도는 대폭 확대했다.

14일 SK텔레콤은 다음달 1일부터 요금 약정할인 위약금을 폐지한다고 밝혔다. 고객이 약정 기간 만료 전 해지할 경우 기존에는 단말 지원금과 요금 약정 할인액을 모두 반환해야 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단말 지원금만 반납하면 된다. 다만 요금 약정할인 위약금 폐지 혜택은 지난달 1일 단통법 시행 이후 가입한 고객에 한해 적용된다.

또 가족형 결합상품에 가입한 고객에게 기기변경이나 단말기 애프터서비스(AS)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매월 제공하는 ‘T가족 포인트’도 오는 18일 출시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2∼5인 가족에게 매월 1인당 1500∼5000포인트씩 총 3000∼2만5000포인트를 제공한다. 포인트는 기기변경이나 단말기 AS 외에 T월드 다이렉트에서 액세서리나 T프리미엄 내 유료 콘텐츠 구매 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앞서 KT도 약정 없이도 약정 할인액만큼 기본요금을 할인해주는 ‘올레 순액요금제’를 출시했다. 순액요금제는 사실상 요금 약정할인 위약금이 없는 셈이다. LG유플러스도 위약금이 없는 요금제를 내놓거나 폐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단말기 구입시 특정 요금제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받는 단말기보조금 반환금은 계속 유지된다. 다만 최근 이통3사가 단말기 구입 후 6개월이 지나면 저렴한 요금제로 바꿔도 이 반환금을 낼 필요가 없는 신규 요금제를 출시했다. SK텔레콤의 프리미엄패스, KT의 심플코스, LG유플러스의 식스플랜 등 요금제다.

한편 미래부는 단말기 보조금과 약정 요금할인 위약금제를 통합하면서 서비스 이용 기간에 따라 반환액에 차등을 두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