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형마트 주류코너 /자료사진=뉴스1 |
23일 통계청의 가계동향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전국, 2인이상) 월평균 주류 지출액은 1만1267원으로 전년보다 4.8% 늘었다. 이는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액수다.
지난 2003년 6359원이었던 가구당 월평균 주류 소비 지출액은 2004년 7002원, 2009년 8356원, 2010년 921원, 2013년 1만751원 등으로 10년 만에 1만원을 넘어섰다.
저도주 열풍으로 포도주나 수입 맥주 등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술 종류가 늘어났고, 경기 침체 속에 회사 등의 단체 술자리가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소득 수준별 술값 지출액은 하위 20% 가구가 6860원, 상위 20% 가구가 1만4650원으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류와 달리 담배 소비 지출액은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전국 가구의 월평균 담배 지출액은 1만6573원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적었다.
담배 소비 지출액은 2006년 2만2062원까지 증가한 이후 2011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담뱃값 지출액은 서민과 증산층일수록 많아 소득 상위 20% 가구 소비 규모가 1만4930원으로 가장 적었다.
통계청은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금연이 확산하고 있고 올해부터 담뱃값이 인상돼 흡연율은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