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놀이터? 같은 계열사 좀도둑 기승
![]() |
드러그스토어 매장.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
특히 직장인들이 몰려있는 오피스 상권 주변 드러그스토어는 피해가 크다. 심지어 같은 계열사 직원들이 점심시간 자연스럽게 방문해 제품을 고르는 척 가져가는 경우가 많아 난감한 상황이다.
모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A드러그스토어 한 매장 관리자는 “고객을 일일이 따라다니며 맞이하지 않다보니 나중에 재고를 확인하다 물건이 없어진 사실을 알게 됐고 CCTV를 돌려본 뒤 같은 계열사 직원인 사실을 확인했다”며 “사원증을 버젓이 목에 걸고 들어와 주머니에 물품을 넣거나, 아니면 상자는 남겨둔 채 안의 내용물만 가져가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 직원이 누군지 얼굴을 보면 알 정도가 돼서 추후 방문에 자제를 요청했으나 오히려 어떻게 알았냐는 식의 반응을 해 놀랐다”며 “이런 직원이 한둘이 아니라 감당이 되질 않고, 또 계열사 식구라 경찰에 신고를 해야 하는지도 판단이 서지 않는다”고 털어놨다.
B드러그스토어는 테스터 제품 도둑이 늘고 있어 고민이다. 테스트용 제품은 고객이 자신에게 맞는 화장품을 찾기 위해 직접 체험한 뒤 구입할 수 있도록 진열해 놓은 제품. 새 제품이 아니라는 이유로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가져가는 것이다. 심지어 가방에 공병을 가져와 로션이나 크림류를 다양하게 덜어가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B드러그스토어 관계자는 “고객들에게 주의를 당부하면 오히려 쓰라고 놔둔 제품을 쓰겠다는 데 문제가 있냐는 식으로 반문한다”며 “테스트용 제품은 하도 많이 없어져서 내부에서 혀를 내두를 정도”라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업체마다 경고문구를 강화하는 등 도난 방지 자구책을 마력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경찰 관계자는 “얼마나 하겠냐 싶겠지만, 테스터 제품에 손을 대는 것도 엄연한 절도”라며 “이쯤이야 하는 행동이 상습이 되다보면 범죄가 될 공산이 크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