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뉴스1 |
신한은행은 서울 금융소비자들의 소득, 소빚, 저축 등의 현황을 보여주는 '서울시 생활금융지도' 소득편을 18일 공개했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자택 또는 직장 주소가 서울시로 등록된 고객 155만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 직장인의 평균 월급은 223만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가장 급여수준이 높은 구는 종로구 355만원은 기록했다. 종로구 소재 기업에 다니는 직장인들은 전체 평균에 비해 1.59배 높은 월급을 받았다. 이어 중구(325만원), 영등포(320만원), 서초(312만원), 강남(310만원) 순으로 드러났다.
종로구가 가장 높게 나타난 이유는 주요 대기업 및 기업 본수가 밀집된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종로구에서도 주요 기업 본사들이 위치해 있는 공평동과 서린동의 월평균 급여는 512만원, 574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 |
서울 직장인 평균 월급이 223만원이고 주요 대기업 및 기업 본사가 밀집 되어 있는 종로구 직장인들의 급여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자료=신한은행 |
급여소득자 연령대별로 보면 작년 서울시 사회초년생(26~30세) 급여 수준은 월 195만원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평균 19% 인상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31~35세는 256만원, 36~40세 287만원, 41~45세 327만원, 45~50세 322만원으로 집계됐다.
직종별로는 서울시 전체 전문직의 급여수준이 일반 사무직 대비 평균 78만원 높게 나타났다. 일반 사무직 월급 평균은 299만원이고 전문직은 377만원에 달했다.
전문직 중에서도 항공사가 있는 강서구가 614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강서구 공항동은 전문직 월평균 급여가 727만원이었다. 법무법인이 밀집된 서초구(507만원), 대형병원이 많은 강남구(449만원)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주요 업무지구 중에서는 광화문의 급여수준이 457만원으로 1위, 여의도(391만원), 강남(311만원), 상암(306만원)이 뒤를 이었다. 광화문은 설(+26%), 추석(+21%) 때 상여금 지급에 따른 급여 증가폭도 가장 높았다. 여의도는 성과급을 받는 연말(+16%)의 급여 증가율이 가장 컸다.
신한은행은 서울시 생활금융지도의 소비편과 저축편을 각각 5, 6월에 공개하고 분석자료를 모두 종합해 시사점을 도출한 보고서를 7월경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지자체와 협업해 경제·복지 등과 관련된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역별 생활금융지도 데이터를 제공할 계획이다. 다음 분석 대상은 서울시 생활금융지도 분석이 완료된 후 논의를 거쳐 결정할 방침이다.
김철기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 본부장은 "금융을 디지털화 하는데 있어 빅데이터는 꼭 필요한 분야"라며 "방대한 금융 데이터를 분석해 복지 사각 지대를 없애고 관련 정책 수립에 중요한 인사이트(insight)를 제공해 고객과 사회 전체를 이롭게 하는 상생의 선순환 고리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