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현석 삼성전자 소비자가전부문장. / 사진=삼성전자 |
김 사장은 17일 서울 성수동 에스팩토리에서 열린 '삼성 홈IoT&빅스비' 미디어데이에서 "AI 부문에 세계적으로 인력이 그렇게 많지 않아 인재 확보가 굉장히 중요하다"며 "숫자는 유동적이지만 1000명 이상의 엔지니어를 확보해야 우리가 추구하는 AI 발전을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음성인식 기반 '빅스비'를 삼성 홈IoT와 연계하고 회사에서 생산하는 모든 제품에 적용 중이다. 또한 AI 선행연구를 위해 지난해말 삼성리서치에 AI센터를 설립했다.
삼성전자는 AI센터에서 '언제 어디서 어떤 제품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AI 연구·개발을 진행한다.
삼성전자의 AI 발전 방향은 지속적으로 자가학습하는 '올웨이즈 러닝', 삼성의 멀티 디바이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사용가능한 '올웨이즈 데어', 사용자에게 항상 도움이되는 방향을 제시하는 '올웨이즈 헬프풀', 사용자의 안전과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올웨이즈 세이프' 등으로 요약된다.
적극적인 인수합병(M&A) 계획도 밝혔다. 김현석 사장은 "어떤 회사를 인수한다고 말할 수 없지만 다양한 검토를 하고 있다"며 "좋은 기술을 가진 국내외 회사가 있다면 언제든지 적극적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반기에 도입될 '빅스비 2.0'에 대한 간략한 소개도 이어졌다. 김 사장은 "빅스비 2.0과 기존 빅스비의 가장 큰 차이는 클라우드 베이스 서비스"라며 "클라우드에 서비스가 존재하면 모든 디바이스에 퍼지는 속도나 업그레이가 빨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빅스비 2.0은 음성인식 기능도 상당히 좋아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경쟁사 플랫폼과의 차이점에 대해선 '오픈정책'을 꼽으며 "스마트싱스 API와 클라우드 API를 모두 공개해 다른 회사하고 협력할 수 있는 정책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