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오른쪽)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방지 대책 등을 논의하기 위해 9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 관계 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왼쪽은 박능후 보건복지부장관. /사진=뉴스1
이낙연 국무총리(오른쪽)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방지 대책 등을 논의하기 위해 9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 관계 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왼쪽은 박능후 보건복지부장관. /사진=뉴스1

이낙연 국무총리는 9일 국내에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진 환자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초동대응’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 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메르스 긴급관계부처 장관회의에서 “우리는 이미 2015년에 메르스를 겪어 의료진이나 정부당국, 국민이 모두 큰 트라우마같은 기억을 갖고 있다”며 “38명이나 되는 사망자를 냈다는 결과 못지않게 과정 또한 아픈 경험으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앞서 쿠웨이트를 방문한 61세 남성이 전날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3년 만에 메르스 확진자가 발생해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이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된 상황이다.


이에 이 총리는 이날 긴급히 관계장관 회의를 주재했다. 회의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홍남기 국무조정실장, 김수현 청와대 사회수석, 노형욱 국무2차장,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진희선 서울시 행정2부시장 등이 참석했다. 민간전문가인 김남중 서울대병원 교수, 김홍빈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이재갑 한림대 교수도 자리했다.

굳은 표정으로 회의에 임한 이 총리는 “2015년 메르스 대응은 더뎌서 국민의 분통을 야기했고 게다가 환자가 다녀갔거나 입원한 병원을 공개하지 않을 정도로 불투명한 관리로 국민의 걱정을 증폭시켰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총리는 “그때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서 이제는 초동대응을 제대로 하고 모든 일을 신속하게 투명하게 해야 한다”며 “피해자가 한분도 나오지 않고 국민이 걱정을 덜하도록 최선을 다해야겠다”고 당부했다.


특히 “이미 다 아는 일이지만 제일 중요한 건 초기대응”이라며 “사흘째 대처가 비교적 잘 되고 있지만 혹시 우리가 놓치고 있는 일이 있을지도 몰라 더 세밀하게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국민 설명’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이 총리는 “메르스는 많은 국민이 필요 이상이라고 할 만큼 불안감이나 억측, 과장된 걱정을 가질 수 있다. 모든 상황에 대비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국민에게 설명해야 한다”며 “질문이 더 나오지 않을 만큼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