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이미지투데이 |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지난달 7일 ‘한국 제약·바이오산업 채용박람회’에 참가한 624명의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제약·바이오산업 인식도 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설문 결과 제약·바이오산업의 이미지를 묻는 질문에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신약·바이오 등 연구개발이 활발한 혁신산업”이라는 답변이 48%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국민건강을 지키는 국가필수산업(22%), 고부가가치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유망산업(16%) 등 긍정적 시각(86%)이 주류를 이뤘다.
반면 기술·상품성 등의 경쟁력 미흡(8%), 리베이트 등 불공정한 관행과 정부의 과도한 규제로 성장이 저해되는 산업(5%)이라는 부정적 평가는 13%로 집계됐다.
제약·바이오산업의 현주소와 관련해서는 선진국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라는 답변이 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평균 수준(39%), 후진국보다 다소 높은 수준(7%), 선진국 수준(6%)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약·바이오산업이 10년 후에는 선진국 수준에 근접할 것이라는 관측이 대다수였다.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4%가 미래 제약·바이오산업이 선진국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선진국보다 다소 낮은 수준(31%), 평균 수준(13%), 후진국보다 다소 높은 수준(2%) 순으로 집계됐다.
한국이 제약·바이오산업 강국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정부와 기업의 의약품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 증대(48%)를 가장 많이 지목했다. 우수인력 확보(20%)가 다음으로 많았다. 이어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11%) ▲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완화와 제도 개선(10%) ▲리베이트 등 불공정 거래 관행의 개선과 투명한 유통시장 형성(9%) ▲제약·바이오산업의 공공성 및 공익성 강화(7%)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제약·바이오산업이 산업혁신, 국민건강, 일자리창출이라는 시대적 책무를 부여 받은 것”이라며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이 선진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부단한 연구개발이 전제돼야 한다는 명제가 재확인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