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KB국민은행 |
KB국민은행은 전문 용어나 일본식 한자어 등의 단어와 문장을 고객이 이해할 수 있도록 '케이비(KB)고객 언어가이드'를 수립하고 모바일 뱅킹 애플리케이션(앱) 'KB스타뱅킹'부터 적용한다. 예를 들어 '~제공합니다'는 '~받습니다', '고시'와 '통보'는 '안내'나 '알림'으로 '내점'과 '차기' 같은 일본식 한자어는 '방문'과 '다음'으로 바꿔 표기된다.
KB고객언어가이드는 맞춤법과 표기법, 띄어쓰기 등 기본적인 오류부터 일본어투, 과도한 높임법 등 관습적으로 잘못 써온 표현까지 다룬다. 특히 금융권에서 널리 퍼진 일본식 한자어 용어를 대체하기 위해 우리말 사용을 권장한다.
또 은행원이 고객에게 전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고객이 행동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문장 표현과 용어를 바꾸는 것에 중점을 뒀다. 예를 들어 ‘내점’이나 ‘차기’ 같은 일본식 한자어는 ‘방문’이나 ‘다음’과 같은 쉬운 우리말로 순화키로 했다. ‘견양’이나 ‘계약응당일’ 같은 어려운 한자어는 ‘보기’나 ‘계약해당일’ 등으로 쉽고 명확하게 바꿨다.
국민은행은 이와 함께 금융권 최초로 국립국어원과 협약을 맺고 금융언어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바꾸는 작업을 함께 진행키로 했다. 또 개선된 용어를 자동 변환 및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점진적으로 다양한 비대면 채널의 문장 표현까지 개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