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사진=로이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사진=로이터
미국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에도 국내 제조기업 세곳 중 두곳은 지금까지와 사업환경이 크게 바뀌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수의 기업들은 트럼프 정부와 마찬가지로 바이든 정부 역시 대중 통상압박과 자국 우선주의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제조기업 300곳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65.3%가 바이든 정부 출범 후 수출 등 사업환경 변화 전망에 대해 '별다른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고 오늘(22일) 밝혔다.

기업 32.0%만 바이든 정부에서 사업환경이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했고,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은 2.7%에 그쳤다. 대한상의는 "바이든 당선 이후 글로벌 통상환경 안정화와 트럼프식 일방주의 후퇴 등을 기대하면서도, 미국산 우대 등 자국 우선주의 지속에 대해 경계를 늦출 수 없는 복합적 현실을 드러낸 것"이라고 풀이했다.


업종별로는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에 대한 기대가 상이했다. 2차전지와 가전, 석유화학 업종에서는 개선 기대가 높았고 기계와 디스플레이, 무선통신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사업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보는 이유로는 '글로벌 무역규범 가동'(42.7%)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친환경 등 새로운 사업기회 부상'(27.1%), '정책의 예측가능성 제고'(20.8%), '대규모 경기부양책 시행'(9.4%) 등 순서로 높았다.

미·중 무역분쟁에 대해서는 과반의 기업(61%)이 '트럼프 때보다는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고,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는 응답이 37%, 심화할 것이라는 예상이 1.7% 등이었다.


송유철 동덕여대 국제경영학과 교수는 "바이든 정부가 내세운 다자체제, 재정지출 확대, 친환경정책은 총론적으로 기회요인으로 보이지만, 각론에서는 중국압박 지속, 환경규제 강화, 미국산 구매 등 장벽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