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유행 상황에 대해 4차 유행으로 보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사진은 서울 중랑구 보건소에서 한 직원이 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을 준비하는 모습. /사진=뉴스1
정부가 코로나19 유행 상황에 대해 4차 유행으로 보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사진은 서울 중랑구 보건소에서 한 직원이 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을 준비하는 모습. /사진=뉴스1
정부가 최근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상황은 정체기라며 4차 유행으로 보는 것은 섣부른 해석이라고 판단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은 15일 오전 기자단 설명회에서 "8주 동안 정체 상태다. 4차 유행이 시작됐다고 보기엔 섣부른 해석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손 반장은 "최근에 갑자기 증가한 상황은 아닌 것 같다"며 "2월 셋째주에 사흘 동안 환자 수가 500명 이상 유지됐었고 지난주에는 400명대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갑자기 환자가 증가했다는 것(시각)은 전반적으로 8주 동안의 현상을 유의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지난 한 주 동안 경남권과 강원권에서 환자 수가 증가했다. 큰 집단감염 사례들이 전체적인 환자 수 증가에 기인한 부분이 있어 그 집단감염 환자 수가 관리되면 전반적으로 어떻게 될 지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8주 동안 정체된 상황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민 중"이라며 "(정세균) 총리가 어제(14일) 수도권 특별대책을 마련해 2주 동안 집중하자고 한 것도 이 부분과 관련된 것으로 경각심을 갖고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윤태호 중수본 방역총괄반장도 "상황에 따라 3차 유행이 종료돼 안정기에 있다가 4차 유행으로 진입하는 것 아니냐고 해설할 수 있다"면서도 "기본적으로 3차 유행이 아직 진행 중이라고 판단한다. 3차 유행의 안정화가 중요하다"고 거들었다.


코로나19 정체기가 길어지면서 3월 내 사회적 거리두기 체제 개편안 적용은 요원해진 상황이다.

손 반장은 "(새) 개편안은 현재 3차 유행이 좀 안정화된다는 전제 아래 시행한다는 계획이었다"며 "3차 유행의 상황 안정화에 집중하되 개편안은 내부적으로 가다듬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이 진행되면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될 것으로 본다. 

손 반장은 "2분기 접종자 수가 꽤 많다. 접종이 진행되면 상황이 안정될 것이라 판단한다"며 "단 예방접종의 효과는 두어달 시차를 두고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5월까지는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게 중요한 과제"라며 "3~4월 코로나19 유행이 재확산되지 않도록 긴장감을 갖고 생활 속 방역 관리를 철저히 이행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