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9년10월10일 문재인 대통령이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 삼성디스플레이 사업장에서 열린 신규투자 및 상생협력 협약식에 참석,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악수하고 있다. / 사진=뉴시스 박영태 기자 |
청와대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일 4대 그룹 대표 초청 오찬 간담회에서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으로부터 “경제5단체의 건의를 고려해달라”는 요청을 듣고 “고충을 이해한다”고 답변했다.
최 회장이 말한 ‘경제 5단체장의 건의’는 앞서 지난달 대한상의와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 5단체가 청와대에 제출한 이 부회장의 사면 건의서를 뜻한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국민들도 공감하는 부분이 많다”며 “경제가 코로나19 위기 등 다른 국면에 놓인 상황에서 기업의 대담한 역할이 필요하다는 것을 잘 안다”고 답변했다.
문 대통령과 청와대는 4월까지만해도 이 부회장의 사면 건의에 대해 “검토할 계획이 없다”고 단호한 모습을 보였었다.
하지만 5월들어 미묘한 기류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5월10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취임 4주년 특별연설 기자회견에서도 이 부회장 사면과 관련한 질문에 “충분히 많은 국민의 의견을 듣고 형평성과 과거 선례, 국민적 공감대를 고려해 판단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특히 “반도체 경쟁이 세계적으로 격화되고 있어 우리도 반도체 산업에 대한 경쟁력을 더욱 더 높여 나갈 필요가 있는 것이 분명한 사실”이라며 사면 건의 진영의 근거에 일부 공감하기도 했다.
이는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가 지속되는 데다 글로벌 반도체 경쟁이 심화되는 등 대내외 환경이 급변하는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 역시 최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경제계나 종교계, 외국인 투자기업들로부터 (이 부회장에 대한)사면 건의서를 받은 것은 사실”이라며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국민적인 정서라든지 공감대 등도 함께 고려해야 되기 때문에 별도 고려가 있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에 따라 이 부회장의 사면 가능성이 더욱 커진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재계에서는 8.15 광복절 특사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다만 문 대통령이 지속적으로 형평성과 과거 선례, 국민적 공감대를 고려해 판단하겠다고 한만큼 실제로 사면이 이뤄질 지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게 재계의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