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서울 은평구 은평한옥마을 한옥역사 박물관에서 '서울을 대전환의 시대, 글로벌 경제·문화를 선도하는 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사진=국회사진취재단 |
이 후보는 21일 서울 은평구 은평한옥마을 한옥역사 박물관에서 “어느 곳보다 역동적인 서울, 다양성과 창의성이 넘치는 서울, 경제와 문화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서울을 만들겠다”며 “주거 불안정, 교통 체증, 지역 불균형, 환경 파괴와 같은 문제들을 정공법으로 돌파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주거 불안정과 관련해서는 “청년들을 포함한 서울 시민들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대규모 주택 공급방안을 제시하겠다”며 공급 규모와 방식을 비롯한 구체적인 방안을 추후 별도로 발표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지상의 주요 철도와 도로가 지역을 분절하고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며 지하철 1·2·4호선과 경의선, 중앙선, GTX-C 지상 구간을 단계적으로 지하화하고, 경부고속도로 양재-한남 구간의 지하화 추진·동부간선도로의 지하화를 조기 마무리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강북과 강남이 함께 발전하는 서울을 위해 관악‧구로 스타트업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가산‧구로 중소기업의 제품화 능력, 마곡지구의 대기업 연구기관을 서울 서남부권을 관통하는 연구창업벨트로 연결해 그동안 소외됐던 서울의 서남부·서북부·동북부 발전을 위한 계획을 제시했다.
또 은평구에 위치한 서울혁신파크를 새로운 지식 거점으로 만들어 서울시립대 은평캠퍼스, 서울연구원과 같은 주요 교육과 연구시설을 서울혁신파크 부지에 입주하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2025년 창동 차량기지 이전이 완료되면 창동-노원역 일대가 서울 동북부권의 문화‧의료‧산업의 중심지가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서울을 첨단산업과 창업의 글로벌 허브로 만들고 세계 10대 스타트업 도시로 끌어올리기 위해 마곡과 구로‧금천 G밸리는 첨단정보통신기술(ICT), 양재는 인공지능(AI), 홍릉과 창동‧상계는 의약과 바이오, 성수‧마포는 소셜벤처와 기술창업 중심의 클러스터로 육성해 서울이 세계적인 R&D와 창업의 허브로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서울의 문화·관광을 세계화하겠다며 ▲상암 DMC 일대에 방송‧문화‧콘텐츠 산업과 게임 산업 인프라 확충 ▲강남·성수의 K-POP 인프라 확대 ▲도봉구 창동에 조성 중인 K-POP 전용극장 ‘서울 아레나’ 조기 완공 등 종로를 중심으로 역사 문화‧관광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메타버스를 활용해 서울을 문화·관광의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탄소중립 생태도시로서 서울의 입지도 강화한다. 이 후보는 “공공분야부터 민간영역까지 서울에 제로에너지 건물이 들어서도록 지원하겠다”며 “도시형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첨단기술을 활용해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고 화석연료 의존을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친환경 자동차 충전시설의 확충과 버스·택시를 친환경차로 바꾸는 등 친환경 모빌리티의 지원도 약속했다.
그는 혼자서도 행복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방범 카메라를 확대 보급하고 긴급자금 대출, 개인 건강검진 등 혼자 살아도 안심할 수 있는 서울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특히 1인 가구 맞춤형 행정서비스 강화, 여성 안심귀가, 독거 어르신 돌봄 등 생활 안전망을 강화하고 주택 임대차 불공정행위를 근절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성남시장·경기도지사 재직 당시 “지역 간 격차로 인해 대립하던 성남시를 신산업이 융성하는 도시로 탈바꿈하고, 경기도 도민이 자부심을 느끼는 새로운 경기도로 바꿨다”며 “서울의 축소판인 성남시와 대한민국의 축소판인 경기도에서 그동안 쌓은 실력으로 서울과 대한민국의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주거 불안정과 관련해서는 “청년들을 포함한 서울 시민들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대규모 주택 공급방안을 제시하겠다”며 공급 규모와 방식을 비롯한 구체적인 방안을 추후 별도로 발표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지상의 주요 철도와 도로가 지역을 분절하고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며 지하철 1·2·4호선과 경의선, 중앙선, GTX-C 지상 구간을 단계적으로 지하화하고, 경부고속도로 양재-한남 구간의 지하화 추진·동부간선도로의 지하화를 조기 마무리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강북과 강남이 함께 발전하는 서울을 위해 관악‧구로 스타트업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가산‧구로 중소기업의 제품화 능력, 마곡지구의 대기업 연구기관을 서울 서남부권을 관통하는 연구창업벨트로 연결해 그동안 소외됐던 서울의 서남부·서북부·동북부 발전을 위한 계획을 제시했다.
또 은평구에 위치한 서울혁신파크를 새로운 지식 거점으로 만들어 서울시립대 은평캠퍼스, 서울연구원과 같은 주요 교육과 연구시설을 서울혁신파크 부지에 입주하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2025년 창동 차량기지 이전이 완료되면 창동-노원역 일대가 서울 동북부권의 문화‧의료‧산업의 중심지가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서울을 첨단산업과 창업의 글로벌 허브로 만들고 세계 10대 스타트업 도시로 끌어올리기 위해 마곡과 구로‧금천 G밸리는 첨단정보통신기술(ICT), 양재는 인공지능(AI), 홍릉과 창동‧상계는 의약과 바이오, 성수‧마포는 소셜벤처와 기술창업 중심의 클러스터로 육성해 서울이 세계적인 R&D와 창업의 허브로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서울의 문화·관광을 세계화하겠다며 ▲상암 DMC 일대에 방송‧문화‧콘텐츠 산업과 게임 산업 인프라 확충 ▲강남·성수의 K-POP 인프라 확대 ▲도봉구 창동에 조성 중인 K-POP 전용극장 ‘서울 아레나’ 조기 완공 등 종로를 중심으로 역사 문화‧관광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메타버스를 활용해 서울을 문화·관광의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탄소중립 생태도시로서 서울의 입지도 강화한다. 이 후보는 “공공분야부터 민간영역까지 서울에 제로에너지 건물이 들어서도록 지원하겠다”며 “도시형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첨단기술을 활용해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고 화석연료 의존을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친환경 자동차 충전시설의 확충과 버스·택시를 친환경차로 바꾸는 등 친환경 모빌리티의 지원도 약속했다.
그는 혼자서도 행복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방범 카메라를 확대 보급하고 긴급자금 대출, 개인 건강검진 등 혼자 살아도 안심할 수 있는 서울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특히 1인 가구 맞춤형 행정서비스 강화, 여성 안심귀가, 독거 어르신 돌봄 등 생활 안전망을 강화하고 주택 임대차 불공정행위를 근절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성남시장·경기도지사 재직 당시 “지역 간 격차로 인해 대립하던 성남시를 신산업이 융성하는 도시로 탈바꿈하고, 경기도 도민이 자부심을 느끼는 새로운 경기도로 바꿨다”며 “서울의 축소판인 성남시와 대한민국의 축소판인 경기도에서 그동안 쌓은 실력으로 서울과 대한민국의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