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28일 임시주주총회를 연다. 사진은 지난해 7월22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 센터 모습. /사진=뉴시스
포스코가 28일 임시주주총회를 연다. 사진은 지난해 7월22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 센터 모습. /사진=뉴시스
포스코가 28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물적분할 여부를 결정한다. 앞서 포스코 최대 주주인 국민연금과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들이 찬성 입장을 밝혔으나 소액 주주들의 반대가 심한 상황이다.
포스코는 이날 오전 9시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서관 4층 아트홀에서 임시주총을 열고 지주사 전환 안건을 담은 분할계획서를 상정한다. 주총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과 출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 동의를 얻어야 한다. 총 발행주식수 8719만주 가운데 2880만주 이상이 동의해야 주총을 통과할 수 있다.

포스코 지분 9.74%(849만주)를 보유한 국민연금은 지난 24일 수탁자책임위원회를 열고 포스코 지주사 전환 안건에 찬성하기로 결정했다.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등의 물적분할에는 반대해왔으나 포스코가 자회사 비상장을 못 박은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사인 ISS도 포스코 물적분할 안건에 찬성을 권고했다. ISS는 각 기업 주총 안건을 면밀히 살펴본 뒤 찬성이나 반대를 제안하는데 주요 투자자들의 의결권 행사에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SS 뿐 아니라 또 다른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인 글라스루이스도 찬성을 권고했다.

국민연금과 의결권 자문사들의 찬성 입장에도 포스코 물적분할 가능성은 오리무중이다. 63%에 달하는 소액주주들이 물적분할을 반대하기 때문이다. 주주들은 포스코가 지주사를 설립한 후 상장할 경우 주식 가치가 훼손될 것을 우려한다. 물적분할은 존속법인이 신설회사의 주식 100%를 보유하는 형태다. 포스코는 지주사가 존속법인이고 철강사업회사가 신설법인이 된다. 물적분할 안건이 통과되면 기존 주주는 핵심 사업인 철강사업 주주의 지위를 잃게 된다.

포스코 소액주주는 지난 11일 포스코센터 정문 앞에서 반대 집회를 열었다. 당시 주주들은 최정우 포스코 회장에게 물적분할 결정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물적분할을 반대하는 포털사이트 카페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해당 카페는 지난 27일 기준 약 1000여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물적분할에 반대표를 던지자고 독려하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