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 3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금융지원책 종료를 앞두고 금융당국이 은행 등 금융권에 충당금 적립을 강조하고 있다. 사진은 시중은행 대출 창구./사진=뉴스1 |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대출 금리가 연일 오르는 데다 대출 만기연장과 이자 상환유예가 종료되면 한번에 부실이 터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은행들이 제출한 '대손충당금 적립 계획'을 파악했다. 이후 일부 은행을 대상으로 "충당금 적립 규모가 너무 적으니 더 쌓으라"는 권고를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대손충당금은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는 금액을 비용으로 처리하기 위해 쌓는 돈이다.
은행들은 자체 평가 모형을 통해 부도율을 계산하고 회수가 불가능한 채권금액을 미리 추산해 수익의 일부를 충당금으로 쌓아둬 자본이 잠식되는 것을 막는다.
금융당국은 은행은 물론 저축은행, 카드사 등 2금융권에도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라고 권고했다.
은행들은 충당금을 더 쌓으면 주주들에게 나눠줄 배당을 줄일 수밖에 없어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은행들은 지금까지 쌓아온 충당금 적립 규모가 적지 않은 수준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은 지난 26일 "현재 시장을 보수적으로 보고 대손 충당금을 적극적으로 쌓고 있다"며 "일부에선 미국에 비해 국내 은행의 충당금 규모가 적다는 지적이 있지만 미국과 달리 대손 준비금까지 쌓고 있어 이를 다 합치면 결코 적은 수준은 아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