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전시행정으로 비난을 받고 있다. 광주 화정동 아이파크 붕괴사고 직후 공동주택 건설 현장 특별 안전점검을 벌인 전남도가 수십 건의 문제점을 발견했지만 세부사항 공개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최근 광주 아파트 붕괴 사태를 본 전남지역 신규 입주자들의 불안감이 증폭되면서 투명행정에 뒷전인 도정에 대한 볼멘소리<본보 2월 16일자- 전남도,공동주택 점검 결과 세부내역 공개 '쉬쉬'...입주자 불안감 증폭>가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전남도는 지난달 12일 공동주택 건설현장 67곳에 대해 특별점검을 한다고 언론사에 알렸다. 덧붙여 위반사항이 발견되면 허가·승인 취소, 공사중지, 과태료 부과 고발조치 등 강력한 행정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다. 전남도가 광주 아파트붕괴사고에 따른 아파트 입주민들의 불감감을 해소하기 위해 선제적 차원에서 적극행정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전남도가 특별점검에 착수해 지난달 22일 긴급 안전점검결과가 나왔지만 한 달이 되도록 언론에 공개를 하지 않았다. 전시행정의 극치를 보는 것 같다.

이와 관련 <머니S> 취재가 시작되자 전남도는 공개에 난색을 표하며 입을 닫았다. 지적사항이 외부에 알려지면 기업의 피해가 막대하고 입주자들의 항의가 빗발친다며 공개를 꺼리고 있는 것이다. 도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할 전남도가 기업체의 피해를 먼저 생각하는 사려 깊은 행정(?)을 하고 있는 것이다. 보수·보강 지적을 받은 부실한 아파트에 살 입주민들의 피해에 대한 배려는 없었다. 뒤늦게 전남도는 보수·보강 57건과 현장시정 9건을 적발했다고 마지못해 본보에 알려왔다. 기사화하지 말라는 조건을 달면서 말이다. 하지만 전남도는 수박 겉핥기 공개로 건설사 어느 현장, 어떤 보수·보강 하자가 발생했는지는 감췄다. 도민의 안전을 총괄하는 전남도 도민안전실장은 본보와 통화에서"(전남도) 담당과 에서는(감사결과)여기에 기업정보라든가 그런 것이 있으니까 자기들이 판단해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 있어)자료를 줄 수 없다. 지자체에 감사결과 원장(본 자료)이 있으니 그쪽에 알아보라 말 한 것으로 안다"면서"세부정보가 알고 싶으면... 전화할 필요 없이 정보공개를 (청구)하세요"라고 원론적인 답변에 그쳤다. 이번 합동점검이 부실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이번 안전점을 지휘했던 도 사회재난과 관계자는 "(콘크리트 양생 표준 기준이 지켜지지 않은 의혹과 관련)건축부서에서 그런 사항을 정확이 알고 있다. 우리는 건축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부분까지 상세하게 보지 못한 것 같다. 지자체는 별도로 하고 도는 민간과 함께 점검을 했는데 안전점검을 완벽하게 했다고 할 수는 없다"고 부실점검 의혹을 키웠다.

이뿐만 아니라 이번 합동점검에 참여했던 모 지자체의 한 간부는 모 아파트 건설현장은 콘크리트 타설이 일주일 간격으로 시행됐다고 귀띔했다. 이는 광주 아파트붕괴 사고의 원인이란 전문가 의견이 나오고 있는 사안으로 중대하게 살펴야 할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가급적이면 동절기 콘크리트 타설을 하지 않은 것이 좋다고 조언하고 있다. 공사를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15일간의 콘크리트 양생기간을 지켜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것이 교과서에 나오는 기본이라며 말이다. 이처럼 전남도가 세부내역 공개를 꺼려 부실의혹이 눈덩이 처럼 커지고 있지만 전남도는 묵묵부답이다. 이에 전남도가 도민의 안전은 내팽겨치고, 건설사 눈치 보기에 급급하다는 의혹을 받지 않도록 적극행정을 해야 할 것이다. 도민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김영록 전남도지사의 도정방향에 역행하는 일도 없도록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