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이 지난 21일 용산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개관 기자간담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용산 국방부 청사 집무실 이전 계획과 관련해 우려사항을 언급했다. /사진=뉴스1
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이 지난 21일 용산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개관 기자간담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용산 국방부 청사 집무실 이전 계획과 관련해 우려사항을 언급했다. /사진=뉴스1
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용산 국방부 청사 집무실 이전 계획과 관련해 우려되는 점을 언급했다.
성 구청장은 지난 21일 용산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개관 기자간담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용산 국방부 청사 집무실 이전 계획과 관련해 "구민들 상황이 지금보다 나빠져선 안된다"고 전했다.

그는 집무실 이전과 관련해선 윤 당선인 측과 아직 어떤 논의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성 구청장은 "집무실을 옮기는 것도 국민들과 소통하고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서라고 하는 것 같은데 어떤 사람도 제게 귀띔하거나 어떻겠냐고 얘기하지 않았다"며 "앞으로 다시 당선되는 용산구청장과는 이런 문제를 반드시 의논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특히 "오늘 집무실 이전으로 인해 우리가 준비해야 할 사항이 뭐고 주민들을 어떻게 설득해야 하고 앞으로의 이익 문제가 뭐가 있는지 등을 면밀하게 분석할 것을 회의에서 지시했다"며 "책임없는 행정을 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필요한 것은 요구하고 안 되는 건 막아서고 해야될 일은 협조할 것"이라며 "우리는 반대 주체도 아니고 찬성 플랜카드를 거는 단체도 아니다"고 밝혔다.

성 구청장은 "용산은 100년이 넘도록 도시 한 가운데에 부대가 있는 탓에 부대가 들여다보이면 안 된다는 이유로 개발에 제한을 받아 재산권 행사를 하지 못했다"며 "가령 구의 한가운데 부대가 있어 지름길을 두고도 길을 둘러서 다녀야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용산공원 계획으로 이제 구민들 품으로 공원을 돌려줌으로써 그동안 힘들고 어려운 것을 보상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오는 2027년까지 공원을 만들고 공개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약속이었는데 정확한 반환시점에 대한 기약이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나아가 "공원이 들어오면 계획대로 주변을 개발할 수 있고 용산구도 이제 기지개를 펼 수 있는데 추가제재 등이 이뤄지면 구민들은 참담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행히 당선인이 추가제재 계획이 없다고 하지만 교통통제부터 청와대 앞에 늘 시위대가 올 것이고 그런 상황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용산 공원 부지는 전체 반환 예정 부지(203만㎡) 중 10.7%인 21만 8000㎡ 정도만 미군으로부터 반환됐다. 지난달 열린 한미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합동위원장 간 협의에서 오는 6월 안으로 전체 면적의 25%(50만㎡)까지 반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협의한 상황이다. 용산 공원은 기존에 이 지역에 주둔하고 있던 주한미군이 평택시로 이전함에 따라 공터로 남는 일대 300만㎡를 국가 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