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가 두 달 연속 위축됐다. 금리 인상과 집값 고점 인식이 매수 대기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수급 동향에 따르면 6월 넷째 주(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보다 1.1포인트 내려간 87.0로 집계됐다. 해당 지수는 지난 5월 2일 새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기대감으로 91.1을 기록한 뒤 8주 연속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나타낸 수치로 기준선(100)보다 낮으면 집을 팔려는 사람이 사려는 사람보다 많다는 의미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해 11월 8일(100.9) 이후 기준선 아래를 유지하고 있다.
매수 심리가 회복되지 못하며 서울 아파트값도 5주 연속 떨어졌다.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3% 하락했다. 구별로는 0.02% 상승한 서초구와 용산·성동·강남구 등 보합세를 제외하고 나머지 지역 모두 하락세가 이어졌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5월 30일(-0.01%)부터 하락 전환해 6월 13일 -0.02%, 6월 30일 -0.03%로 낙폭이 조금씩 커지고 있다. 부동산원은 "추가 금리 인상 우려와 매물 적체 영향 등으로 거래심리 위축이 이어진 것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번주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전주와 같은 94.3을 기록했다. 전세가격(-0.01%)도 전주와 같은 낙폭을 보이며 3주 연속 하락했다. 부동산원은 "정부의 임대차 안정 방안이 발표된 가운데 금리 인상 우려와 매물 누적 영향이 지속되고 전세가격 부담 있는 고가주택이나 대단지 위주로 하락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