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역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유행 규모와 정점 시기를 완벽히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정례 브리핑에서 "감염재생산지수가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증가 추세는 둔화될 것"이라면서도 "켄타우로스로 불리는 BA.2.75 변이의 확산 양상에 따라 유행의 규모는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BA.2.75의 향방에 따라서 (유행이)좀 멈칫거리다가 다시 올라갈 수도 있다"며 "이후 정점은 8월 말이 지나서 올 수 있다"고 했다.
정 위원장은 "유행 예측은 자문위에서도 수리모델링을 연구하고 발표하는 분이 두 분이나 들어와 있을 정도로 굉장히 관심을 끌고 있는 부분"이라며 "처음에는 30만명 가까이 이야기가 되다가 지금은 10만명 가까이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이번 재유행 정점을 28만명으로 발표한 바 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등은 20만~30만명으로 예측했다.
정 위원장은 "수리모델링으로 정확하게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며 "전 국민의 면역이 골고루 떨어지게 되는 이번 겨울이 유행의 입구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끝으로 "자문위와 코로나19 특별대응단이 적극적으로 그 부분을 살펴서 제안과 정책 수정·보완을 계속하겠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