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총파업' 앞둔 KB손해보험 노조, 명분 있나?

KB손해보험 노동조합(노조)이 12월 초 총파업을 예고했다. 지난 11월 초부터 KB손해보험 노사는 '2022년 임금 및 단체협상'을 진행했지만 임금 인상률과 근무 시간 등을 두고 접점을 찾지 못했다. 그러자 노조는 파업이라는 초강수를 던졌다.

KB손해보험 노조가 제시한 협상안은 기본급 8% 인상, 성과급(PS) 700% 지급, 현장직에 50만 복지 포인트 지급, 정년 연장 및 임금피크제 개선 등이다.


KB손해보험 노조는 지난 2017년 임금인상률은 1%, 2018년은 2%, 2019년은 1.5%, 2020년은 2%, 2021년은 1.5%에 머무는 등 매년 실적 증가에도 1~2%에서 엎치락뒤치락 한다는 점과 2021년 임직원 평균 급여가 7900만원으로 주요 손해보험사(삼성화재, 현대해상, D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중에서 가장 낮다는 점을 근거로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중이다.

성과급 또한 2015~2017년 100%, 2018년 200%, 2019~2021년 100%로 책정하는 등 매년 비슷해 성과급 인상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사측은 시장 상황과 경영환경 등을 이유로 수용하기 어렵다며 ▲기본급 3.5% ▲PS 350% 등을 제시했다. 지난해 당기순이익(2854억7052만원)이 전년대비 86.2% 증가한데 이어 올해도 3분기까지 5207억원을 기록하는 등 역대최대치가 전망되지만 경기흐름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노조 요구를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 노조는 올해 3월 부분파업을 벌인지 8개월 만에 총파업 카드를 꺼내 들며 사측 압박에 나섰다.

KB손해보험 노조 총파업에 대해서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는 곱지 않은 시선도 나온다. 총파업 결의 소식이 알려지자 노조의 집단 이기주의가 도를 넘어섰다는 비판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일부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당장 "배가 부를 대로 불렀다"라는 지적도 나온다. 노조원들의 임금이 오르고 근무 처우가 개선되더라도 좋은 게 없다는 걸 알고 있는 가입자들, 그리고 이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따가울 수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KB손해보험 노조 총파업이 시의적절하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지난 9월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금융업권 임직원 횡령 사건 내역'에 따르면 최근 5년여 동안 KB손해보험의 횡령액이 12억300만원으로 보험권에서 가장 많았다.

KB손해보험 노조는 이번 파업이 집단 이기주의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인력과 영업지점 축소 기조 속에 직원들의 업무 강도는 더욱 세졌다는 게 파업에 찬성표를 던진 KB손해보험 노조의 입장이다. 노조는 2021년에 이어 2022년 상반기 최대 실적 랠리를 이어온 KB손해보험이 물가 인상분 등을 현실적으로 반영해 임금 인상을 해야 한다고도 주장한다.

근로조건에 관한 파업 등 쟁의 행위는 법이 부여한 노동자의 엄연한 권리다. 그렇지만 KB손해보험 노조의 투쟁과 파업 결의가 국민적 공감을 얻지 못하는 이유는 이들 싸움에서 보험 소비자와 시장을 위한 '가치'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노조는 KB손해보험의 역대급 실적을 근거로 임금을 무조건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업계 시선은 다르다. 국내외 기준금리 인상 기조에 힘입어 이자 이익이 늘어난 것이지 KB손해보험 직원들의 획기적인 상품과 서비스로 거둔 과실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소비자와 시장의 지지를 잃은 노조가 역사 속에서 숱하게 사라져온 것을 우리는 안다. 회사 안팎의 반대 여론이 높아지는 지금이 노조의 방향성을 재점검할 때다. 묵묵히 일선에서 헌신하는 직원들에게 불명예를 안겨주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