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상하이 공장 내부 /사진=로이터
테슬라 상하이 공장 내부 /사진=로이터

테슬라가 아시아 제2 기가팩토리를 인도네시아에 세울 것으로 예상된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11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은 인도네시아와 테슬라의 계약이 성사단계라고 보도하면서 테슬라는 인도네시아 정부와 차세대 기가팩토리 건설 계약에 근접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소식통을 인용했다.


인도네시아 공장은 연간 100만대 생산이 목표인데 이는 상하이 기가팩토리의 75만대보다 많다. 인도네시아는 테슬라에 전기차 핵심 부품의 주 원료인 니켈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테슬라는 현재 텍사스 오스틴, 캘리포니아 프레몬트, 상하이, 베를린에 각각 기가팩토리를 운영 중이다.

이처럼 테슬라의 아시아 기가팩토리의 새로운 소식이 전해지면서 그동안 유치 경쟁에 나선 국내 지자체들의 노력은 물거품이 됐다는 평이다.


지난해 11월23일 윤석열 대통령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화상통화를 갖고 한국 투자를 요청했다. 이에 머스크는 당시 "한국을 최우선 투자 후보지 중 하나로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고 지자체들은 유치 관련 계획을 수립, 발표해왔다.

자동차업계에서는 애당초 불가능한 일이었다는 시각이다. 각종 비용을 절감해야 하는 상황에 굳이 생산비가 비쌀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에 공장을 짓는 건 그동안의 테슬라 투자 방향과 맞지 않아서다.

업계 관계자는 "일론 머스크의 한국 투자 후보지 언급은 주가하락에 따른 투자자 이탈을 막기 위한 언론 플레이였을 수 있다"며 "최근 글로벌 완성차업체의 전기차 공장은 아세안 시장이 최우선 후보지로 꼽히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