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업체들이 속속 가격인상에 나설 전망이다. 사진은 경기 안양시에 위치한 레미콘 공장. /사진=뉴스1
시멘트업체들이 속속 가격인상에 나설 전망이다. 사진은 경기 안양시에 위치한 레미콘 공장. /사진=뉴스1

쌍용C&E가 시멘트 가격 인상을 예고한데 이어 성신양회도 가격 인상에 동참하기로 했다. 레미콘 업계와 건설업계는 유연탄 가격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시멘트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5일 시멘트 업계에 따르면 성신양회는 지난 2일 레미콘 업계 등에 7월부터 시멘트 가격을 인상하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성신양회는 현재 톤당 10만5000원인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12만원으로 인상하겠다고 통보했다. 인상 폭은 14.3%다. 앞서 쌍용C&E는 7월1일부로 1종 벌크시멘트는 톤당 11만9600원, 슬래그시멘트는 톤당 10만9300원에 공급하겠다고 수요 업계에 공지했다. 현재 공급가보다 14.1% 오른 금액이다.


시멘트 업계는 제조원가의 20%를 차지하는 전기요금 인상을 시멘트 가격 인상 이유로 들고 있다. 올해 들어 유연탄 가격이 하락하긴 했지만 환율이 오르면서 인하 효과가 상쇄됐다는 주장이다.

그간 나머지 기업들은 시멘트 가격 인상 여부에 대해 검토 중이라는 입장이었지만 쌍용C&E와 성신양회가 가격 인상을 결정하면서 동참 시기를 저울질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원가 부담이 커지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졌다"며 "인상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고 전했다.

시멘트 업계가 지난해 두 차례에 이어 올해 또다시 가격 인상에 나서자 레미콘 및 건설 업계도 강경 대응을 예고하고 있다.


납품단가 연동제는 원자재 가격 변동분을 납품 단가에 반영하는 제도로 레미콘 업계는 납품단가 연동제에 따라 시멘트 가격 인상분을 레미콘 단가에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시멘트 가격인 인상되면 레미콘 업계가 다시 건설업계와 단가 협상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건설업계도 시멘트 가격 인상에 반발한다. 대한건설협회는 "전기료가 올랐다지만 유연탄 가격이 작년 대비 50% 이상 떨어졌다"며 "시멘트 업계의 원가 구조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가격 인상은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시멘트 가격 인상으로 업종 간 갈등이 격화하자 정부는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민간 기업의 가격에 대해 정부가 개입할 순 없지만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정부가 중재를 할 예정"이라며 "현재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와 만나 해결 방안을 논의 중이다. 갈등 조정이 안 될 시 동반성장위원회를 통해 중재할 생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