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가 당초 임무 수명인 2024년을 넘어 2025년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사진은 다누리에서 촬영한 지구./사진=항공우주연구원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가 당초 임무 수명인 2024년을 넘어 2025년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사진은 다누리에서 촬영한 지구./사진=항공우주연구원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의 임무 기간이 늘어날 예정이다. 다누리 연료량이 예상보다 여유있게 남아 추가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7일 오전 세종 청사에서 오태석 제1차관 기자간담회를 열고 다누리가 당초 임무 수명인 2024년보다 연장된 2025년까지 운영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날 오태석 차관은 "다누리는 2월부터 정상 운용 중이다. 다누리의 연간 연료 소모량이 26~30㎏인데 궤도 진입 후 잔여 연료가 86㎏이다. 2025년까지 운영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하드웨어도 문제없을 것으로 보여 이달 중에 달 탐사 사업 추진위원회를 열어 임무 연장을 논의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누리는 지난해 8월 발사돼 12월 달 궤도에 진입했는데 이후 2023년 1월 시운전 기간을 거쳐 2월부터 본격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임무는 ▲달 착륙선 후보지 탐색 ▲달 표토입자 분석 및 티타늄 분포지도 작성 ▲달 자기장 측정을 통한 달 생성 원인 연구 ▲달 표면 자원 지도 및 달 우주방사선 환경지도 작성 ▲심우주탐사용 우주인터넷 기술 시험 ▲미국의 달 남극 유인착륙 후보지 탐색 등이다.


오 차관에 따르면 다누리 1년 소모 연료량은 26~30㎏ 수준인데 임무 궤도에 진입한 뒤 남은 연료량은 86㎏이다. 다누리는 당초 1년 동안 달 탐사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으나 남은 연료량을 감안하면 2025년까지도 무리 없다는 계산이다.

앞으로 우주 산업 관련 청사진도 언급됐다. 과기정통부는 우주항공청 설립 문제와 관련해 "논의를 통해 해법을 찾겠다"라고 했다. 여·야 간 이견이 있지만 정부가 국회를 설득하는 데 힘쓰겠다는 것이다.

현재 논의 중인 우주항공 전담조직 관련법은 총 3개다. 과기정통부에서 발의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 특별법',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우주개발진흥법 개정안', 김민석 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국가우주항공청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안' 등이다.

이들 법안은 모두 우주항공 정책을 전담할 조직의 필요성을 담고 있으나 조직의 위상, 설치 방법, 기준 등을 두고 상이하다. 정부안은 우주항공청을 과기정통부 외청 형태로 두는 식이고 이에 반발해 대체법안의 성격으로 발의된 조 의원의 법안은 우주전략본부를 중앙행정기관 성격으로 구성하자는 게 골자다. 김 의원의 법안은 대통령 소속 국가우주항공청을 신설하자는 내용이다.

현재 우주항공청 특별법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상정돼 향후 국회 법안1소위에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들 3개 법안을 중심으로 실무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