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추석 연휴가 다가오면서 한국소비자우너과 공정거래위원회가 소비자피해가 빈번한 분야에 대해 피해사례 등을 공개했다. 사진은 붐비는 인천국제공항의 모습. /사진=임한별 기자
긴 추석 연휴가 다가오면서 한국소비자우너과 공정거래위원회가 소비자피해가 빈번한 분야에 대해 피해사례 등을 공개했다. 사진은 붐비는 인천국제공항의 모습. /사진=임한별 기자

#. A씨는 여행사를 통해 추석 연휴에 탑승할 인천-호놀룰루 왕복 항공권 3매를 구매하고 538만2000원을 결제했다. 몇 시간 뒤 A씨는 예약이 잘못된 사실을 알고 취소 요청했으나 여행사는 항공사의 취소 규정에 따라 124만6200원만 환급 가능하다고 답을 보내왔다.

18일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추석 명절을 맞아 소비자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항공권 및 택배, 상품권에 대해 소비자 피해주의보를 발령했다.


항공권, 택배, 상품권 관련 서비스는 추석 연휴 기간 소비자의 이용이 증가하는 분야다. 최근 3년간(2020~2022년) 추석 연휴를 전후한 9~10월에 소비자원에 접수된 피해구제 사건은 항공권 644건, 택배 153건, 상품권 156건이다. 항공권이 전체의 15.4%를 차지하고 택배(19.1%) 상품권(13.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항공권의 경우 올해는 6일의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사전에 여행지의 출입국 정책을 알아보고 취소수수료 등 환급 규정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항공권 관련 대표적인 소비자피해 사례는 취소 시 과도한 위약금 부과, 항공편 지연·결항 등 계약불이행이다. 전자상거래로 항공권 구매 후 취소 시 과도한 위약금을 부과하거나 항공기 운항이 지연·결항돼 여행 일정에 차질이 생겼음에도 항공사가 배상을 거부하는 경우가 있다.


택배는 명절 직전에는 수요가 몰려 배송 지연이나 분실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미리 충분한 시간을 두고 이용하는 것이 좋다. 운송장에 운송물 종류, 수량, 가격을 정확하게 기재하고 배송 완료될 때까지 보관한다. 운송물의 품명과 중량·수량, 물품 가격 등을 운송장에 정확히 기재해야 분실되거나 훼손되었을 때 적절한 배상을 받을 수 있다.

상품권은 높은 할인율을 강조하며 현금결제를 유도하는 곳에서는 구매를 피하도록 한다. 모바일상품권은 지류형상품권에 비해 유효기간이 짧으므로 구매 전 유효기간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구매한 상품권을 유효기간 내 사용하지 못한 경우 발행일로부터 5년(상사채권 소멸시효 기간)이 지나지 않았다면 구매금액의 90%를 환급받을 수 있으므로 발행일을 확인해 환급을 요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