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폐경 시기를 늦추려면 모유 수유를 오래하는 것이 좋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관련이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여성 폐경 시기를 늦추려면 모유 수유를 오래하는 것이 좋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관련이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모유 수유기간이 길면 폐경 시작 나이가 늦춰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최근 김도훈·박주현 고려대 안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모유 수유기간이 증가하면 폐경 나이와 생리 기간이 연장된다는 결과를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었다.


이 결과는 김도훈·박주현 교수팀이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폐경 여성 43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다.

연구 대상 폐경 여성의 평균 나이는 63.8세였다. 평균 초경 나이는 14.9세, 평균 초산 나이는 24.1세, 평균 임신 횟수는 4.3회, 평균 모유 수유기간은 34.7개월이었다.

모유 수유기간이 1개월 미만인 여성은 전체의 14.0%, 1개월 이상~6개월 미만은 5.7%, 6개월 이상~12개월 미만은 6.3%, 12개월 이상~18개월 미만은 9.8%, 18개월 이상은 64.2%였다.


모유 수유기간이 길수록 폐경 나이도 높았다.

모유 수유기간이 18개월 이상인 여성의 평균 초경 나이는 15.3세, 평균 폐경 나이는 50.1세였다. 반면 모유 수유기간이 1개월 미만인 여성의 평균 폐경 나이는 49.2세였다.

모유 수유가 여성의 폐경 시점을 늦출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연구진은 모유 수유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여성이 내인성 에스트로젠에 노출되는 전체적인 기간이 증가하면 심혈관 질환과 대사증후군과 같은 질환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다만 내인성 에스트로젠에 장기 노출됨으로써 여성 암 발병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