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가 오늘(13일)부터 공동주택에 사용되는 친환경 자재를 대상으로 부실 건축자재를 막기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불시 점검을 실시한다.
점검 대상은 건축자재 제조·유통업체 20여 곳이다. 앞서 친환경 건축자재 합동점검은 부실한 친환경 자재가 생산·납품돼 공동주택에 사용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2018년부터 추진해 왔다. 정부는 총 16개 품목의 95개 업체를 점검한 결과 21건의 부적합 자재를 적발해 전량 폐기 또는 재시공 조치 등을 취했다.
올해의 경우 지속해서 부적합 판정이 나온 주방가구와 도료를 포함해 실링재·벽지·륨카펫 등 공동주택에 많이 사용하며 국민 건강·생활과도 밀접한 5개 품목 20개 업체를 점검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에 해당 품목을 납품 중이거나 납품 예정인 제조·납품 업체를 LH와 불시에 방문하는 방식으로 진행해 자재별 채취한 시료를 공인시험기관에 의뢰했다. 건강친화형 건설기준 등 친환경 성능, KS 품질기준 등을 제대로 준수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지난해에는 인조대리석 등 4개 품목의 19개 업체를 점검한 결과 총 3건의 자재가 친환경 KS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을 확인해 유통 중지 및 전량 폐기했다.
정부는 친환경 등 기준이나 품질을 충족하지 못하는 위반사항을 발견할 경우 지자체 등에 위반 업체와 위반 사항을 통보하고 관련 법령에 따른 조치 등을 요청할 계획이다.
유혜령 국토부 주택건설공급과장은 "그간 친환경 자재의 지속적인 점검으로 친환경 자재의 부적합 판정 건수는 지난 2019년 33%에서 지난해 15%로 감소했다"면서 "업계가 자발적인 품질 관리와 고품질 건축자재가 생산 유통되는 문화가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