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능 영어 절대평가 /사진=뉴스1 |
‘수능영어 절대평가’
내년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이 치르는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어영역이 등급만 공개하는 절대평가로 바뀐다. 사교육과 과잉학습을 막겠다는 취지인데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부는 2018학년도 수능부터 영어영역에 절대평가를 도입한다고 지난 25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영어영역은 현재 등급·표준점수·백분위 모두를 제공하는 것에서 점수와 백분위를 빼고 9등급이나 4~5등급 체제의 등급만 공개한다.
특히 교육부는 영어 영역에 절대평가 도입하게 되면 국어나 수학 등 다른 과목으로 사교육이 전이되는 '풍선효과'를 막기 위해 다른 영역도 쉽게 출제한다는 계획이다.
수능 영어역역에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이유는 학생들을 변별하기 위해 어려운 문제를 낼수록 사교육비 부담이 가중된다는 판단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능 시험의 목적은 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학습수준과 학습량을 이수했는지 평가해 학생의 수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라며 "학생간의 상대적 서열을 중시하는 상대평가 체제의 현행 수능 영어 평가방식은 성적향상을 위한 무한경쟁을 초래해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넘는 과잉학습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영어 능력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보다 수능 대비를 위한 문제풀이 위주의 수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균형있는 영어능력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며 "상대평가는 학생을 변별하기 위해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출제해 불필요한 학습 부담과 사교육비 부담이 초래된다는 지적도 많았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학생과 학부모가 제도 변화에 대해 충분히 예측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현 중학교 3학년이 대학 입시를 치르는 2018학년도부터 도입하기로 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영어 영역 절대평가 도입이 대입에서 영어의 중요성이 약화되는 것으로 잘못 인식될 경우 학교 영어수업 자체가 소홀해지며 학생들의 영어 실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절대평가 도입이 단순히 수능영어 문항을 쉽게 출제한다는 의미는 아니고 일정 수준의 변별력을 갖고 출제할 것"이라며 "수능 영어 난이도를 어렵게 출제한다고 해서 영어 실력이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