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9일 일본 출장을 마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서울 강서구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로 귀국하고 있다. / 사진=뉴시스 홍효식 기자 /사진=홍효식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경영활동을 옭아매던 사법리스크가 대법원의 최종 무죄 판결로 완전히 해소되면서 등기이사 복귀와 컨트롤타워 재건에 재계의 비상한 관심이 집중된다.

대법원 3부(주심 오석준 대법관)는 지난 17일 계열사 부당합병과 불법승계 등의 혐의로 기소된 이 회장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했다. 지난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이후 10년, 2020년 재판에 넘겨진 지 4년 10개월 만이다.


검찰은 이 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목적으로 삼성 미래전략실 주도 아래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을 추진했고 이 과정에서 이 회장이 최대주주였던 제일모직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자회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를 저지른 것으로 의심했으나 재판부는 모든 혐의를 무죄포 판단했다.

이번 판결에 대해 이 회장 측 변호인단은 "대법원의 최종 판단을 통해 삼성물산 합병과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처리가 적법하다는 점이 분명히 확인됐다"며 "5년에 걸친 충실한 심리를 통해 현명하게 판단해 주신 법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이 회장의 경영활동에 제약이 사라진만큼 등기이사 복귀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한다. 앞서 이 회장은 2016년 10월 임시 주주총회에서 처음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리며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 위기 극복에 앞장선 바 있다. 하지만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 사법리스크가 심화되자 2019년 10월 임기 만료 이후 재선임 없이 등기임원에서 물러난 바 있다.


현재 4대 그룹 총수 중 미등기임원은 이 회장뿐이다. 이 때문에 이 회장이 등기이사에 복귀해 책임경영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있어왔다.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은 "책임 경영을 강화한다는 의미에서 등기이사로 빠른 시일 내에, 적절한 시점에 복귀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삼성전자가 최근 반도체 부진, 미국의 관세 등으로 유례없는 위기를 겪고 있는 점도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론에 힘을 싣고 있다. 이 회장이 경영전면에서 오너십을 강화하면 과감한 투자와 신속한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반등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란 게 업계의 중론이다.

컨트롤타워 재건도 관심사다. 삼성은 국정농단 사태 이후 그룹의 컨트롤타워였던 미래전략실을 해체하고 전자·금융·EPC(중공업 등) 등 3개 부문으로 구분해 TF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매출이 450조원 수준인 삼성의 규모를 고려할 때 TF만으로 그룹 전반을 이끌어나가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TF는 그룹 중장기 전략 수립에 대한 결정권을 갖고 있지 않아 사실상 계열사별로 자율경영을 하고 이는 상황이다,

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도 컨트롤타워 재건 필요성을 수차례 언급해왔다. 이 위원장은 ""삼성이 사면초가의 어려움에 처해 있는 만큼 컨트롤타워 재건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