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지역이 내년 말 사용 종료키로 한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사용을 연장하는 데 합의하면서 쓰레기 대란은 상당기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3개 시도는 각 지역에 대체 매립지를 조성하는 것을 전제로 오는 2016년 말 사용 종료하기로 한 수도권쓰레기매립지의 사용을 연장하는 데 합의했다고 28일 밝혔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과 박원순 서울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 '매립지 4자협의체' 기관장은 이날 오전 제8차 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합의했다.
4자협의체는 인천시 서구에 있는 현 매립지의 잔여 면적 가운데 3-1공구를 추가 사용키로 합의했다. 3-1공구는 103만㎡ 규모로 현 매립방식대로라면 6년, 직매립 제로 방식의 경우 7년 동안 쓰레기를 묻을 수 있다.
현재 사용중인 2매립장은 오는 2018년 1월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후 3-1매립장을 7년 동안 사용하면 오는 2025년까지 약 10년 간 현 매립지를 더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매립지 사용 종료 시점을 합의문에 적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매립 방식대로라면 앞으로 10여 년 동안 수도권 매립지를 더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사용 연장으로 매립지가 위치한 인천시는 각종 지원 혜택을 받는다.
수도권 매립지로 들어오는 전체 폐기물 반입수수료의 50%와 매립지로 인해 발생되는 기타 수익금을 인천시 특별회계로 전입키로 했으며 인천도시철도 1호선과 서울도시철도 7호선 연장 및 조기착공, 테마파크 조성사업, 환경산업 실증연구단지와 연계한 검단산업단지 환경산업 활성화, 체육시설 이용 프로그램 개발 및 접근성 강화를 위한 교통 확충 등에 협력키로 했다.
![]() |
'수도권 매립지' 지난 1월 13일 수도권매립지 연장 반대 범시민사회단체협의회가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정복 시장은 2016년도 쓰레기 매립지 종료를 선언해야 한다"며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