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변잠혈 검사' /사진=이미지투데이
'분변잠혈 검사' /사진=이미지투데이
'분변잠혈 검사'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장정결제 용액을 4L나 마신 후 장을 비워내는 고통스러운(!) 작업이 따른다. 이 때문에 대장암검사는 기피의 대상이 되곤 했다.

앞으로는 대장암 검진 시 불편한 대장 내시경 검사를 대신해 분변잠혈검사를 시행하도록 했다.


국립암센터는 9일 국가암검진프로그램에 포함된 5대암(위·대장·간·유방·자궁경부암)의 검진 권고안을 개정하고 사망률이 높은 폐암과 발생률이 높은 감상샘암에 대한 권고안을 새로 개발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대장암 검사는 1년 또는 2년을 주기로 시행하며 검진 시기를 기존 50세에서 45세로 앞당겼다. 현재 1차 검진 방법으로 사용되는 대장내시경은 출혈이나 천공 등 위험이 비교적 높아 권고안에 포함되지 않았다.

분변잠혈검사란 대장암의 선별을 위한 1차 검사로 이용하는 검사로 대변에 섞여있는 소량의 혈액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대변에서 3곳 이상을 깊이 찔러서 충분한 양을 취하는 것이 좋다. 대변이 건조되거나 소변, 물 등에 오염되면 검사를 방해해 대변을 준비한 당일 검사기관에 제출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