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 수조원의 예금을 인출해 가겠다는 의사를 표해, 한국과 이란 두 나라가 앞으로 원활한 교역을 하는 데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0년 경제 재제가 시작되면서 한국과 이란의 연간 교역 규모는 기존의 3분의 1 수준인 60억달러대로 줄었다. 이는 이란과 금융거래가 전면 제한됐기 때문이다.
그나마 이란이 한국에 개설한 원화 계좌가 양국 교역을 지탱했다. 한국에 수출한 석유 대금을 이 계좌로 받고 수입한 상품 대금은 이 계좌를 통해 지불됐다. 두 나라 사이에 돈이 직접 오가진 않는 일종의 편법이었지만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역할을 했다.
유가가 오르고 한국의 석유 수입이 늘어나면서 이 계좌 잔액도 크게 증가해 현재 3조∼4조원으로 추정된다. 이 계좌가 개설된 국내은행은 물론 양국의 안정적인 교역을 원하는 정부에게도 중요한 존재인 셈이다.
그런데 이란이 이 계좌에 남아있는 예금 수조 원을 빼내 가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비상이 걸렸다. 이란으로서도 자국 내 경제 복구를 위해 자금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게는 이란의 경제 복구에 우리 기업들이 대거 참여하기 위해서도 이 계좌는 꼭 놓치면 안 되는 상황이라, 정부는 일단 이란의 의중을 면밀히 파악하면서 인출을 최대한 만류한다는 방침이다.
당국은 달러 거래가 여전히 제한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이란이 원하는 유로화 결제 시스템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 |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지난 25일 서울 중구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이란 교역·투자 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뉴스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