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사슴뿔버섯. /사진=뉴스1
붉은사슴뿔버섯. /사진=뉴스1

독버섯으로 알려진 붉은사슴뿔버섯에서 항암물질이 발견돼 이목을 끌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3일 김기현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인체에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알려진 ‘붉은사슴뿔버섯’에서 유방암세포 생장을 억제하는 새로운 유용 물질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붉은사슴뿔버섯’은 섭취 후 30분 안에 피부괴사, 탈모, 혈구감소증 등 심각한 중독증상을 일으킨다.


그러나 공동연구팀이 발견한 붉은사슴뿔버섯의 항암물질 로리딘 E는 현재 유방암 치료물질로 알려진 독소루비신보다 약 500배 이상 강력한 항암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동연구를 통해 붉은사슴뿔버섯으로부터 총 8가지 천연물질이 분리됐는데, 그 중 5가지 물질로부터 유방암 세포를 사멸시키는 효과가 입증됐다.

또한 공동연구팀은 붉은사슴뿔버섯의 중독증상 원인 독소물질로 알려진 트리코테신 유도체 화합물 8종의 명확한 분자 구조를 동정했다. 동정은 새로 만든 생물의 표본이나 어떤 생물을 각종 도감이나 검색표 등에 의해 비교 검토, 이미 밝혀진 분류군 중에서의 그 위치를 결정하는 일을 말한다.


신물질로 확인된 3종의 화합물을 각각 마이오파이토센 D, 로리딘 F, 사트라톡신 I로 명명했다.

박 현 산림생명자원연구부장은 “독을 없애는 데 다른 독을 쓴다는 이독제독처럼 독버섯의 독소물질에서 오히려 사람을 살리는 버섯의 효과를 찾았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라며 “앞으로도 버섯 연구를 통해 항암, 항우울 억제제 등 새로운 약리기능 발굴 연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의 유용성은 미국 생약학회로부터 출간되는 천연물화학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저널 오브 내추럴 프로덕츠(Journal of Natural Products)’의 82권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