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담동의 한 빌라 앞에 걸린 GTX-A노선 공사 반대 현수막. /사진=김창성 기자
청담동의 한 빌라 앞에 걸린 GTX-A노선 공사 반대 현수막. /사진=김창성 기자
‘소음·먼지·안전’ 우려에 “지하에 땅 파지 말라” 경고… 노선변경 계획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사업을 두고 잡음이 심하다. 수도권 도시의 서울 접근성이 향상돼 출퇴근난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노선이 지나는 강남구 압구정동·청담동 일대 주민들은 안전을 무시한 처사라며 분노한다. 이들은 지하철 공사의 경우 주거지를 피해 차도 밑으로 노선을 정하지만 GTX는 이를 무시한 채 주거지 밑으로 터널 공사를 강행한다며 반발한다. 관할 강남구청은 노선변경을 주장하는 주민들의 입장을 대변해 국토교통부 등에 의견을 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GTX-A 노선을 두고 생긴 잡음은 해결될 수 있을까.

◆GTX-A는?… 수도권 외곽-서울 도심 ‘20분’


2018년 12월 말 착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사업에 들어간 GTX-A는 경기도 파주 운정-서울역-삼성역-경기 동탄을 연결하는 83.1㎞ 길이의 노선이다. 총 사업비는 3조4000억원이며 오는 2023년 말 완공을 목표로 공사 중이다.

GTX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지하 40~50m 아래 대심도(大深度)의 도심 고속전철(최고 시속 180㎞)로 노선 직선화를 통해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까지 20분대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고안됐다.

GTX-A노선이 개통되면 운정-서울역 20분, 킨텍스-서울역 16분, 동탄-삼성 22분 등 이동시간이 기존 대비 약 70~80% 이상 단축돼 수도권 주민의 서울 출퇴근 및 이동생활에 획기적인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GTX-A 노선도. /사진=국토부
GTX-A 노선도. /사진=국토부
지난해 6월부터는 GTX-A노선의 지상 구간에 대한 토지 보상 절차에도 들어갔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GTX-A노선 민간투자사업(파주시 연다산동 일원-서울시 삼성동 일원)의 차량기지 및 지상 환기구 등 지상구간에 대한 토지보상계획을 공고했다. 지상구간은 경기도 303필지, 서울시 80필지, 편입면적 29만8044.3㎡다.
◆압구정·청담 주민 분통… 이유는?


사업에 속도가 붙은 것으로 보이지만 곳곳에서 잡음이 가득하다. 특히 강남구 압구정동·청담동 주민의 반발이 거세다.

지하 40~50m 아래 대심도 터널을 뚫는 공사라 지상에 끼칠 여파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주민들이 우려하는 부분은 지하철 노선이 대부분 지상의 차선을 따라 정해지는 것과 달리 GTX-A노선의 경우 주거지 밑으로 터널을 뚫는데 문제가 있다고 반발한다.

청담동 주민 A씨는 “주거지 밑으로 터널을 뚫으면 지반이 약해질 텐데 사람들이 사는 아파트와 빌라에 금이 가고 주저앉아야 직성이 풀리겠냐”며 “애초에 사업을 기획 할 때부터 주거지 안전을 최우선시 했어야 하는데 이를 등한시 했고 현재도 주민들 의견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압구정 현대아파트 앞에 걸린 GTX-A노선 공사 반대 현수막. /사진=김창성 기자
압구정 현대아파트 앞에 걸린 GTX-A노선 공사 반대 현수막. /사진=김창성 기자
압구정 현대아파트 주민 B씨는 “지역 이기주의로 들릴 수도 있지만 여기 사람들에게 GTX는 필요 없지 않냐”며 “주민들 안전과 건강을 위해서라도 노선 변경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주민들의 반발 의견을 수렴한 강남구청은 공사를 위한 도로점용 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GTX-A 시행사 측은 서울시를 상대로 행정심판도 제기한 상황이다.

강남구청 관계자는 “해당지역 주민 비상대책위원회 등이 국토부를 항의 방문 하며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아직까지 노선 변경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주민들 안전과 건강이 우려되는 부분인 만큼 중앙정부와의 가교 역할을 하며 노선변경을 위해 애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