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5월16일 육군 장교들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다. 사진은 5·16 군사정변 상황 모습. /사진=우리역사넷 홈페이지 캡처

1961년 5월16일. 박정희 육군 소장은 육군 장교들과 함께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다. 5·16 군사 정변으로 제2공화국 장면 내각은 출범 9개월 만에 막을 내렸다.

5·16 군사 정변, 이승만 정부에 대한 불만이 원인

당시 국군은 이승만 정부에 대한 불만이 극에 달해 쿠데타를 일으켰다. 사진은 1961년 5월18일 서울 시청 앞 광장에서 당시 AP소속이었던 김천길 기자가 촬영한 육군사관학교 생도들 시가행진을 바라보는 박정희 전 대통령(맨 왼쪽)의 모습. /사진=우리역사넷

당시 국군은 이승만 정부 당시부터 군 부정부패, 비리 등으로 불만이 극에 달했다. 박 전 대통령 등은 이승만 정부 때 쿠데타를 기획했으나 1960년에 4·19 혁명이 터져 무산됐다. 그러다 다시 쿠데타 세력을 모았고 4·19 혁명 1년 이후 5·16 군사 정변을 일으켰다.

5·16 군사 정변에 가담한 인물은 박 전 대통령, 김종필, 육군사관학교 8기생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쿠데타 세력은 예비 사단 병력, 포병단, 해병대, 육군 제1공수특전단 등을 동원해 1961년 5월16일 새벽 서울, 대구, 부산 등 방송국 등 주요 시설을 무력으로 점거했다.


이들은 주한미군과 주한미국대사관의 공식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장도영과 통수권자 대통령 윤보선을 회유해 국무총리 장면을 사퇴시키고 쿠데타 60여시간 만에 제2공화국 헌정을 무너뜨렸다. 쿠데타 세력은 위헌 수단으로 행정, 입법, 사법 삼권을 탈취해 자신들이 조직한 군사혁명위원회가 대한민국 통치권을 행사한다고 선언했다.

5·16 군사 정변 이틀 후인 1961년 5월18일 박 전 대통령은 군사혁명위원회 의장으로 장도영을 세우고 자신은 부의장으로 하는 국가재건최고회의를 개편했다. 이후 1962년 12월31일까지 전국 모든 정치인 활동 불법화, 언론 사전 검열 실시, 정기 간행물 1200여종을 폐간하는 등 2년 반 동안 군정을 실시했다.

육군 소장에서 대통령 된 박정희

군사 정부를 이끌었던 박정희 육군 소장은 5·16 군사 정변 이후 대통령 자리에 올랐다. 박정희 정부는 조국 근대화를 내세우며 공업화를 우선 과제로 삼았다. 이후 성장 위주 경제 정책을 펼쳤다. 박정희 정부는 근대화 정책을 강력히 추진해 경제 성장과 국력 배양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민주주의를 실현 의지는 약했다. 장기 집권을 위해 3선 개헌을 강행했으며 정치적 반대자에 대한 탄압으로 국내외에서 독재 정치라는 비판을 받았다.